DOI QR코드

DOI QR Code

Modern Division of the Style of Gardens Presented in Korean Traditional House Yard

전통주택 마당에 나타나는 정원양식의 현대적 분화

  • 박은영 (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
  • Received : 2011.03.10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Dwelling reflects the continuance and change that, in general, expresses the era's cultural and social values. The yard of Korean traditional dwelling, although it is an exterior space, it is a companion space that is engaged with the main house. It operates many housing functions that were not achieved within the interior space. After the time of enlightenment, shape, function and the meaning of Korean traditional house yard along with the change of values and major living style has been changing. Therefore, to understand how the Chosun Dynasty's house yard is being used in modern days,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earch of 47 sites and conducted a study regarding the acculturation and division the house yards. Typical elements in the target garden site that are expressed in a way differentiated from the original form of the Korean traditional house yard were the materials and methods of planting, the use of garden ornaments, paving materials, the use of water, and changes in kitchen gardens. As the role of house yards changes, the modern division of the style of gardens occurred; the areas in a garden have been divided and the form of a garden has been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limit and initiative. The pursuit of ornamentality and practicality led to the differentiation of gardens' functions, while seeking after convenience resulted in the division of gardens' materials. The use of gardens has also been differentiated by adding commerciality and a concept of open garden in both symbolic and daily manners.

주거는 그 시대의 사회 문화적 가치관이 총체적으로 표현되는 것으로 지속성과 변화를 반영한다. 한국 전통주택의 마당은 외부공간이긴 하나, 안채와 맞물린 한 짝의 공간으로 내부공간에서 못다 이룬 주거기능의 많은 부분을 수행하고 있다. 개화기 이후 우리의 주거문화는 급격한 환경변화의 과정 속에서 가치관과 주생활 양식의 변화와 함께 마당의 형태, 기능, 의미가 달라지고 있다. 이에 47개 연구대상지를 통해 주택마당의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여 마당의 변용과 분화를 분석, 종합하였다. 연구대상지에 전통주택 마당의 원형과 달리 분화된 방식으로 표현되고 있는 대표적인 요소는 재식의 재료와 방법, 점경물의 이용, 포장재료, 물의 이용, 텃밭의 변화 등이었다. 전통주택 마당에 나타나는 정원양식의 현대적인 분화는 마당의 역할이 변화함에 따라 정원 영역의 분화가 나타났고, 경계와 적극성의 정도에 따라 정원 형태의 분화가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장식성과 실용성의 추구에 의한 정원의 기능 분화와 편리성 추구에 따라 정원의 소재 분화가 나타났다. 그 밖에 상징과 일상적인 의미에서 상업성, 개방정원의 의미가 추가되어 정원의 이용 분화가 나타나고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조(2005). 풍경의 발견. 파주: 효형출판. p.245.
  2. 김지은, 김개천(2008). 사건 개념에 의한 한국전통마당의 전의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7(6): 111-119.
  3. 민경현(1994). 동양문화의 시원을 이룬 한민족의 정원 생물적 예술공간인 관자정 조성배경과 의장기법. 한국정원학회지. 12(1): 125-143.
  4. 민중서림(2010). 엣센스 국어사전. 파주: 민중서림 제6판.
  5. 박경자(2002). 소쇄원 외원연구. 한국조경학회 춘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pp.1-3.
  6. 박경자(2010). 조선시대 정원. 서울: 학연문화사. p.85.
  7. 신광호(2003). 도시형 한옥마당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우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신상섭(1994). 조선시대 상류주택의 외부공간 조영 기법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2(1): 1-14.
  9. 신상섭(1998). 전통주택 외부공간의 조영 원리 해석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6(1): 103-111.
  10. 신상섭, 곽병화(1991). 전통주택의 공간구성과 정원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정원학회지. 9(1): 31-52.
  11. 신상섭, 이명우(1998). 현대주택정원의 전통계승기법 적용방안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6(3): 41-53.
  12. 우경국(1985). 조선시대 주택마당에 관한 연구. 환경과 조경. 11: 88-95.
  13. 윤재웅(1996). 도시 단독주택 마당의 변용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지. 7(1): 85-94.
  14. 윤일이(2010). 한국의 사랑채. 부산: 산지니. p.167.
  15. 이원호, 김용기(2006). 19세기 중엽에서 20세기 중엽에 조영된 한국정원 구성요소의 변환기적 양상.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4(2): 56-69.
  16. 이현우, 김재식, 김정문(2009). 추사고택 입지 및 공간구성에 관한 의론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1): 84-97.
  17. 전남일(2010). 한국 주거의 공간사. 파주: 돌베개
  18. 정동오(1991). 한국의 정원. 서울: 민음사
  19. 조성기(1991). 한국 민가에 있어서 안마당의 성격. 한국주거학회 학술발표논문 논문집 제2권.
  20. 한국조경학회(2010). 동양조경사. 서울: 문운당.
  21. 홍철웅, 김정문(2005). 한중 상류주택의 주거공간 특성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2): 36-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