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구강보건교육 요구도 조사

A Study on Needs of Teachers in Community Children's Centers for Oral Health Education in Incheon

  • 김진희 (가천의과학대학교 치위생학과) ;
  • 김현진 (가천의과학대학교 치위생학과) ;
  • 김혜진 (가천의과학대학교 치위생학과) ;
  • 박지혜 (가천의과학대학교 치위생학과) ;
  • 방우리 (가천의과학대학교 치위생학과) ;
  • 신혜주 (가천의과학대학교 치위생학과) ;
  • 한수진 (가천의과학대학교 치위생학과)
  • Kim, Jin-Hee (Dept. of Dental Hygiene, Gachon University of Medicine and Science) ;
  • Kim, Hyun-Jin (Dept. of Dental Hygiene, Gachon University of Medicine and Science) ;
  • Kim, Hye-Jin (Dept. of Dental Hygiene, Gachon University of Medicine and Science) ;
  • Park, Ji-Hye (Dept. of Dental Hygiene, Gachon University of Medicine and Science) ;
  • Bang, Woo-Ri (Dept. of Dental Hygiene, Gachon University of Medicine and Science) ;
  • Shin, Hye-Ju (Dept. of Dental Hygiene, Gachon University of Medicine and Science) ;
  • Han, Su-Jin (Dept. of Dental Hygiene, Gachon University of Medicine and Science)
  • 투고 : 2011.08.22
  • 심사 : 2011.12.09
  • 발행 : 2011.12.31

초록

지역아동센터 교사에게 제공할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을 목적으로 2010년 4월 28일부터 2010년 6월 4일까지 98개 지역아동센터에 근무하는 교사 178명을 대상으로 구강건강행위 및 인식, 지역아동센터내 아동의 구강관리 실태, 아동대상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의견 등에 대해 조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66.8%는 아동이 잇솔질을 가끔 또는 전혀 안한다고 인지하고 있었으며, 57.3%는 자주 잇솔질 지도를 가끔 또는 전혀 못한다고 하였고, 잇솔질 지도를 잘 못하는 이유는 센터 내 세면대 부족(27.5%), 업무량이 많아 신경을 못 씀(20.6%), 잇솔질 할 시간이 없음(16.7%) 등의 순이었다. 저녁식사 후(65.2%)와 아침식사 전(51.1%) 잇솔질 하는 율이 가장 많았고, 주로 회전법(48.9%)과 종마법(35.4%)으로 있솔질 하고 있었다. 구강건강행동 실천은 술,담배 절제(4.17)가 가장 높았고 불소용액가글(2.56)이 가장 낮았으며, 전체항목의 실천도 평균은 3.27이었고, 87.7%는 구강건강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구강보건교육을 경험한 군의 구강건강행위 실천도와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이 유의하게 높았다(p<0.01). 97.2%는 구강건강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였고, 구강건강이 중요한 이유는 74.2%가 전신건강을 위해서라고 응답하였다. 구강보건교육을 받은 교사는 교육 후 아동구강건강관리에 대한 관심($4.53{\pm}0.60$), 아동구강보건교육에 대한 실천($4.38{\pm}0.69$), 아동 잇솔질 권유($4.32{\pm}0.76$) 의사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89.4%는 아동을 위한 구강보건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86.5%는 참여의사가 있다고 하였고, 치과위생사 또는 치위생(학)과 학생(32.0%)과 치과의사(28.7%)의 센터 방문에 의한 교육을 희망하고 있었다. 교육매체는 게임(4.17)과 동영상(4.15)의 형태가 효과적이라 생각하였고, 구강위생관리법(4.52), 치아우식예방법(4.40) 등에 대한 교육을 희망하였다. 센터내 프로그램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에서는 사회성교육(5.57)이 가장 높았고 구강보건교육(3.34)은 제시된 8개 프로그램 중 최하위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구강보건을 위해서는 이들에게 영향력이 큰 지역아동센터 선생님들을 통한 간접교육이 필요함을 확인하였으므로, 지역아동센터에 근무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되며, 프로그램 개발 시에는 구강건강지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목표를 설정해야하며, 아동의 구강관리 지도방법에 대한 내용을 포함해야할 것이다. 그리고 지역아동센터 내에서 아동들의 올바른 구강건강행동을 유도하기 위해서 센터 내 시설을 개선 확충해야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ral health behavior and awareness of teachers in community children's centers, the state of oral health care among children in the centers and the opinions of the teachers on child oral health education in a bid to gather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of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geared toward community children's center teach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78 teachers who worked in 98 community children's centers in the city of Incheon.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28 to June 4, 201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57.3% of the teachers investigated provided toothbrushing guidance from time to time or couldn't do it at all. As for the reason why toothbrushing guidance was scarcely conducted, the largest group cited shortage of sinks(27.5%) as the reason, and the second biggest group replied they couldn't afford to pay attention to that due to heavy workload(20.6%). The third greatest group was pressed for time(16.7%). The teachers got a mean of 3.27 in oral health behavior, and 87.7% were concerned about children's oral health. The group of teachers who ever received oral health education was significantly better at oral health behavior and showed significant more interest in oral health(p<0.01). The 97.2% of the respondents considered oral health important. Concerning the reason, they replied it was crucial for systemic health (74.2%). The 89.4% of the teachers viewed child oral health education as necessary, and 86.5% had an intention to provide oral health education for children. They hoped to receive education on the oral health control act(4.52) and the prevention of dental caries(4.40). The above-mentioned findings confirmed that in order to step up the oral health promotion of child users of local children's centers, it's necessary to provide secondhand education for them through their teachers who have a great impact on them.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that cater to local children's center teachers is required.

키워드

참고문헌

  1.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United Nations, Retrieved November 4, 2011 from http://www.unicef.org/magic/media/documents/CRC_korean_language_version.pdf#National(November 20, 1989)
  2. 박순자: 빈곤아동 복지정책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서울, 2007.
  3. 김영미: 저소득가정 아동의 부모특성 및 가정환경과 아동방임의 관계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대전, 2002.
  4. 이은희: 지역아동센터의 건강증진기능 활성화 방안[석사학위논문]. 중부대학교 원격대학원, 금산, 2007.
  5. 이현주: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실태 및 교육환경만족도 조사[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7.
  6. 국가법령정보센터: 아동복지법 제16조 제1항 제11항, 법률 제10465호(타법개정 2011. 03. 29), Retrieved November 4, 2011 from http://law.go.kr/main.html.
  7. 보건복지가족부, 지역아동정보센터: 전국 지역아동센터 실태조사 보고서(10-006), 서울, 지역아동정보센터, 2009.
  8. 권현숙 등: 구강보건교육학, 2판, 청구문화사, 서울: 청구문화사, 서울, p. 327, 2003.
  9. 김성희: 학령기 아동의 건강증진행위와 어머니의 건강신념과의 관계 연구[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3.
  10. 장기완 등: 구강보건교육학. 4판. 고문사, 서울, pp.169-170, 278, 2007.
  11. 이백현, 신승철: 한국 사람의 영구치 출현시기와 우식예방 시기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18(2): 458-485, 1994.
  12. 전정미: 서울시 일부 초등학교의 구강보건교육 실태 및 보건교사의 의식조사[석사학위논문].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4.
  13. 최용금: 회전법 및 바스법 잇솔질 난이도와 교육 효과 평가[석사학위논문], 강릉대학교 대학원, 강릉, 2007.
  14. 엄미란: 맞춤형 반복교육에 따른 치면세균막 관리점수 개선 효과[석사학위논문], 강릉대학교 대학원, 강릉, 2008.
  15. 한수진: 계획된 행동이론(TPB)을 적용한 저소득층 아동의 구강보건증진 프로그램 효과[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9.
  16. 나미향: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구강보건교육 경험에 따른 구강보건관리 실태[석사학위논문]. 고신대학교 보건대학원, 부산, 2009.
  17. 최경희: 초등학교 보건교사의 구강보건교육 진단[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광주, 2010.
  18. 한지연: 유아교육기관종사자의 구강보건지식과 실천에 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서울, 2007.
  19. 정경희: 대전시 미취학 아동 교육기관 교사의 구강보건형태와 구강보건교육 실태[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익산, 2008.
  20. 이호연: 건강증진모형을 이용한 구강건강행위 관련 요인 분석[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서울, 2001.
  21. 김종배 등: 공중구강보건학. 3판, 고문사, 서울, pp.227-228, 2004.
  22. 이혜경 등: 초등학교 아동의 구강보건에 관한 지식과 행동의 상관관계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8(3): 155-161, 2008.
  23. 오윤배, 이흥수, 김수남: 모친의 사회경제적 요인과 구강건강신념이 아동의 구강보건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18(1): 75-76, 1994.
  24. 한수진, 황윤숙: 지역아동센터 방문아동을 위한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 필요에 대한 연구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7(1): 91-103, 2007.
  25. 정세환, 박영주, 배수명: 지역네트워크 활성화를 통한 지역아동센터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강릉: 강릉대학교산학협력단.건강증진사업지원단, 2007.
  26. 이연경: 유아 어머니의 구강보건지식과 자녀의 구강관리행태. 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10(1): 93-106, 2010.
  27. 강재경 등: 아동의 치아건강에 관한 보호자의 지식, 인식 및 태도.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3(4): 564-574, 2009.
  28. 노용환 등: 식이섭취실태, 우식증이환상태 및 우식활성의 상관관계. 대한구강보건학회지 17(2): 386-401, 1993.
  29. 최성숙, 최미숙: 경주시 어린이집 아동의 간식섭취 양상에 관한 조사연구. 치위생과학회지 6(3): 213-217, 2006.
  30. 이창한, 정태성, 김신: 18개월 유아의 섭식, 구강위생 관리 실태 및 구강상태에 관한 기초조사.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1(4): 714-720, 2004.
  31. 신미경: 사회적 수행목표, 자기 효능감과 불안 및 학업성취의 관계[박사학위 논문]. 전북대학교 대학원, 전주, 2008.
  32. 한지형: 연극을 이용한 구강보건교육 효과, 치위생과학회지 5(2):57-62, 2005.
  33. 이옥화: 개별구강보건교육이 초등학생의 구강보건행위와 구강청결도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전주,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