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계량경제적 접근을 통한 도시림의 도시열섬 완화효과 분석

An Econometric Analysis of Mitigating Urban Heat Island Effect with Urban Forest

  • 김동현 (경상대학교 대학원 산림환경자원학과) ;
  • 김의경 (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농업생명과학연구원)) ;
  • 양준석 (경상대학교 대학원 산림환경자원학과) ;
  • 김현근 (국립산림과학원 녹색경제연구과) ;
  • 신혜진 (경상대학교 대학원 산림환경자원학과)
  • Kim, Dong-Hyeon (Department of Forest Environmental Resources, Graduate School,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Kim, Eui-Gyeong (Division of Environmental Forest Science(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Yang, Jun-Seok (Department of Forest Environmental Resources, Graduate School,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Kim, Hyeon-Geun (Division of Forest Economic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Shin, Hae-Jin (Department of Forest Environmental Resources, Graduate School,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0.11.01
  • 심사 : 2011.02.21
  • 발행 : 2011.03.31

초록

이 연구는 도시 열섬현상과 산림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으며, 전력소비모형과 기온변화모형의 두 가지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전력소비모형은 전국적 차원에서 열섬현상 완화를 위한 산림의 역할을 찾아내는 것이고, 기온변화모형은 열섬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대도시에서 이를 완화하기 위한 산림의 역할을 계량경제적 분석방법으로 찾아내는 데 있다. 분석 결과를 보면 도시 내의 산림이라 할 수 있는 생활권도시림면적과 열섬현상과는 부의 상관관계에 있다는 것을 두 모델에서 모두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1인당 생활권도시림이 $1m^2$ 증가하면 전국 평균 소비전력량은 0.02MWh 감소하며, 특광역시 내의 여름철 한낮 온도를 $1.15^{\circ}C$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heat island effect and forest, analyzing electricity consumption model and temperature change model. Electricity consumption model was adopted to clarify a role of forests in alleviating the heat island effect at the national scale, while temperature change model was adopted to clarify a role of forests in mitigating urban heat island effect on metropolis with using econometric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from both models clearly show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urban forests within living areas and heat island effect. In particular, when urban forests within living area per person increases by $1m^2$, the average municipal electricity consumption decreases by 0.02MWh and the summer daytime temperature for metropolitan cities decreases by $1.15^{\circ}C$.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영동. 1986. 우리나라 도시화의 재조명 - 과잉 집중화의 쟁점. 대한지방행정공제회 21(1): 23-25.
  2. 김운수. 2010. 특집: 도시의 열섬현상: 우리나라 도시의 열섬현상 완화 대책. 대한지방행장공제회. 45(500): 27-33.
  3. 김종선. 2007. 비선형모형을 이용한 냉방전력 수요형태 분석. 자원환경경제연구 16(4): 901-922.
  4. 김해동, 박명회, 송경숙. 2004. 냉난방도일을 이용한 우리나라 주요도시의 도시승온화 현상 특성분석. 한국환경과학회지 13(3): 189-196.
  5. 류을렬, 윤용한. 2006. 충북 주요도시 열섬현상 저감대책. 충북개발연구원 2006(10): pp. 140.
  6. 박경훈, 정성관. 1999. 광역적 녹지계획 수립을 위한 도시열섬효과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2(3): 35-45.
  7. 서의훈. 2009. SPSS 14.0과 12.0 한글판을 이용한 SPSS 통계분석. 자유아카데미. pp. 500.
  8. 송일우, 정우수. 2002. SAS와 EVIEWS를 이용한 계량경제 실증분석. 서울 삼영사 pp. 391.
  9. 이태원. 2001. 도시의 열섬현상과 건물에너지 소비. 대한설비공학회 30(9): 80-82.
  10. 임상수. 2009. 주요 도시별 전기소비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도시연구 10(2): 87-100.
  11. 장은숙. 2005. 아파트 단지내의 열섬효과가 대기오염물질 확산에 미치는 영향 해석을 위한 열우동장 수치모의. 한국환경과학회지 14(6): 577-582.
  12. 정성모. 2009. 도시내 용도지역의 토지피복형태가 열섬현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과학회지 18(2): 169-176.
  13. 조성모, 윤용환, 류을렬, 박봉주, 김원태. 2009. 도시내용도지역의 토지피복형태가 열섬현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과학회지 185(2): 169-176.
  14. Bornstein, Robert D. 1968. Observations of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in New York City.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and Climatology 7(4): 575-582. https://doi.org/10.1175/1520-0450(1968)007<0575:OOTUHI>2.0.CO;2
  15. Okea, T.R. 1967. City size and the urban heat island. Atmospheric Environment 7(8): 769-779.
  16. Rosenzweig, Cynthia., Solecki, William., Parshall, Lily., Gaffin, Stuart., Lynn, Barry. 2006. Mitigating New York City's heat island with urban forestry, living roofs, and light surfaces. Sixth Symposium on the Urban Environment.
  17. Robinette, Gary O. 1972. Plant/People/and Environmental Quality. American Society of Landscape Architects Foundation. pp. 136.
  18. 산림청. 2008. 시도별 도시림 및 1인당 생활권도시림 현황. http://www.forest.go.kr(2008. 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