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f Environmental Standard and Treated Method for Beneficial Use of Dredged Materials

준설토 활용을 위한 환경기준과 처리공법에 대한 고찰

  • Received : 2011.10.07
  • Accepted : 2011.10.18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In this study, both domestic ground and maritime environmental standard and treated method for beneficial use of dredged materials were investigated. To suggest beneficial use of dredged material, cemented bricks and light-weighted bricks were made. The strength of bricks was satisfied with the standard(50kPa), which is the strength for the reclamation work on the reclaimed land.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육상 및 해상 준설토 활용관련 환경기준과 처리공법을 총 망라해 고찰해 보았다. 해양준설토 활용방법 제시를 위하여 고화벽돌 및 경량벽돌 등 시제품을 제작하였으며 매립복토재로서 활용성도 매립작업을 원할히 하기위한 강도(대략 50kPa)를 만족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상권, 김인배, 박주량, 박성호, 배광수, 정준오 (1995). 폐기물 처리공정 시험방법 해설. 동화기술.
  2. 윤길렴, 배윤신 (2010). 준설토 활용기술과 환경기준. 대한토목학회.한국지반공학회 공동학술심포지움.
  3. 윤길림, 이찬원, 정우섭 (2008). "준설토 유효활용을 위한 한국형 환경기준 개발," 한국지반공학회 논문집, Vol.24, No.5, pp.5-13.
  4. 전완기, 이관호 (2000). "안정처리된 도시 하수슬러지의 건설재료활용을 위한 기본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20, No.4, pp.3 15-324.
  5. 정창수 (2009). 준설토 활용기준(안)의 적정성 검토 전문가회의. 한국해양연구원.
  6. 조홍연, 최광희, 윤길림 (2001). "용출시험에 의한 항만 준설토의 오염토 평가."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Vol.2, No.2, pp.5-12.
  7. 한국해양연구원 (2009). 해양오염퇴적물 처리방안 및 기술개발(II). 국토해양부용역최종보고서.
  8. 해양수산부 (2005). 해양오염퇴적물 조사 정화복원체계 구축(II).
  9. 해양수산부 (2007). 준설토사 처리 및 유효활용 기준 수립. 최종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