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수목장의 동기와 수목장지 선호조건에 대한 요인 분석

Factor Analysis on Citizen's Motives to Tree Burial and Choice Conditions to Tree Burial Site

  • 우재욱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
  • 변우혁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
  • 박원경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
  • 김민수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
  • 임민우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 Woo, Jae-Wook (Department of Enviro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Byun, Woo-Hyuk (Department of Enviro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Park, Won-Kyung (Department of Enviro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Kim, Min-Soo (Department of Enviro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Yim, Min-Woo (Department of Enviro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투고 : 2011.07.20
  • 심사 : 2011.10.07
  • 발행 : 2011.12.31

초록

본 연구는 수목장의 바람직한 정착을 위한 정책방향을 제언하기 위하여 수목장의 동기와 수목장지의 선호조건에 대한 요인분석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장례식장 이용자 52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결과 수목장의 동기로는 나무를 통한 추모, 간소함, 추모지 확보 용이성, 친환경성, 후손 배려가 요인 추출되었으며 수목장지의 선호조건으로는 자연경관미, 추모지 정서, 편리성, 안정감, 경제성이 추출되었다. 요인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수목장의 동기와 관련하여 다양한 형태의 수목장지 개발, 수목장에 맞는 장묘절차 개발, 공공복지서비스로서 수목장 보급, 다수 장묘가 가능한 수목장 방식 개발, 수목장지 관리의 전문성 향상을 제언하였다. 수목장지의 선호조건과 관련하여 자연미 있는 숲의 조성, 기존 묘지의 수목장지 전환, 접근성이 좋은 곳에 입지 선정, 휴식과 추모를 함께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 수목장지 이용 가격의 저렴화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ed to analyze factors on motives to tree burial and choice conditions to tree burial site in order to suggest policy direction for the desirable settlement of tree burial. For those purpose, this study performed questionnaire, targeting 522 visitors of funeral hall all around Korea. As the result, the factors of motives to tree burial were extracted as follows: funeral ceremony progressed along with trees, simplicity, memorial site's easy insurance, environmental friendliness and consideration toward descendants. The factors on choice conditions to tree burial sites were extracted as follows: beauty of natural scenery, emotional mood as a memorial site, convenience, stability and economic feasibility. Based on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policies related to motives to tree burial as follows: develop various types of tree burial sites, develop a funeral ceremony suitable for tree burial, come into wide use of tree burial as a social welfare service, develop tree burial methods capable of many burials, and improve professionalism to manage tree burial system.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d related choice conditions to tree burial sites as follows: establish natural forest scenery, convert existing graveyards into tree burial sites, select easily accessible places for tree burial sites, form tree burial sites as places for both rest and memory, and reduce using fee of tree burial site.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수봉, 김경래, 김도경, 장순웅, 김영아. 2009. 자연장활성화 방안연구. 보건복지부. pp. 63-94.
  2. 변우혁. 2005.9.8. 우리나라 수목장의 도입과 조성방향. 산림내 수목장림 조성에 대한 심포지엄. 세종문화회관. pp. 118-124.
  3. 변우혁. 2006. 에코-다잉의 세계 수목장. 도솔. 서울. pp. 38-45.
  4. 변우혁 외 11. 2005. 수목장림 조성 연구. 산림조합중앙회. pp. 92-102.
  5. 보건복지부. 2011. 장사시설 안내. http://www.ehaneul.go.kr (2011.7.1).
  6. 산림청. 2010. 나도 죽으면 수목장 81%. http://www.forest.or.kr (2010.5.18).
  7. 성주한 외 33. 2005. 지속가능한 산림자원관리 표준메뉴얼. 국립산림과학원. pp. 63-80.
  8. 우재욱. 2006. 수목장림의 유형구분과 시민의식 조사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68-71.
  9. 차득기, 송원호, 김형무, 전석, 김수진. 2010. 묘지실태시범조사 및 전국조사를 위한 연구. 보건복지부. pp. 307-308.
  10. 천정윤. 2006. 한국형 수목장 적용형태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9-51.
  11. 한국방송공사. 2006. 1TV 뉴스9 제작을 위한 수목장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KBS 조사백서 pp. 48-50.
  12. 현정오 외 26. 2002. 수목원 및 생태숲의 효율적인 조성과 운영.관리에 관한 연구. 산림청. pp. 263-2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