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명활산성 주변의 산림경관 관리를 위한 시곡면(示曲面)과 누적가시도(累積可視度)분석기법 연구

A Study on the Methods of Multiple Sight Surface and Cumulative Visibility Analysis for the Forest Scape Management around the Myeong-hwal Fortress

  • 김충식 (강릉원주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 이재용 ((사)한국전통조경학회) ;
  • 김영모 (한국전통문화학교 전통조경학과)
  • Kim, Choong-Sik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The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
  • Lee, Jae-Yong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Kim, Young-Mo (Dept.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The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투고 : 2011.10.31
  • 심사 : 2011.12.04
  • 발행 : 2011.12.31

초록

산성의 복원과정에서 조망 확보를 위해 산림경관에 대한 정비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 산성에 대한 조망 확보를 위한 산림경관 관리방안이 제시되었다. 관리방안의 검증을 위해 GIS를 이용한 시곡면과 누적가시도 분석이 이용되었다. 경주 명활산성에 대해 경관 분석과 산림정비계획 수립, 수목 제거사업 등의 결과가 비교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부의 주요 조망점에서 명활산성에 대한 누적가시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산성에서 우수가시구간의 선정이 가능하였다. 6개의 우수가시구간은 총 길이가 1,937m(전체 구간의 41.2%)이다. 둘째, 우수가 시구간에 대해 수목의 평균높이와 우점종인 소나무의 최대 성장높이를 반영한 시곡면 분석을 비교하였다. 비교결과, 수목의 평균높이를 반영하는 것이 최대 성장높이를 반영한 것보다 식생에 대한 훼손을 최소화하면서 산성의 가시성을 확보하는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도출된 정비구역 중에서 가시빈도가 높은 A구역이 타당성 검토를 위해 선정되었다. 주요 조망점에서의 가시 여부를 검토하면서 A구역에 대한 수목 제거작업이 수행되었다. 비교결과, 정비계획($10,935m^2$)과 제거지역($11,296m^2$)은 미미한 차이(3.3%)가 발생하였다. 이를 통해 산성 주변의 산림경관 정비를 위한 누적가시도와 시곡면 분석법의 효용성이 검증되었다.

The recovering of historical mountain fortress needs the maintenance of forest scape for achieving visibility. In the study, the methods for the maintenance of the forest around the fortress were proposed. The Cumulative Visibility Analysis and Multiple Sight Surface Analysis were tested to verify the methods using GIS on the Myeong-hwal Fortress in Kyungju.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umulative Visibility Analysis was made on the Myeong-hwal Fortress from surrounding major viewpoints. The Cumulative Visibility Analysis enables the selection of excellent visibility sectors on the fortress. The 6 excellent visibility sectors were 1,937m(which occupied 41.2% of the area). Second, two cases of pine tree height were compared in the Cumulative Visibility Analysis. One used the average height of pines and the other used the maximum growth height. The comparative result demonstrated that the case of average height would be more effective for deciding the pine removal zone as well as achieving visibility to the mountain fortress. Third,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the management method, the tree removal plan and removal execution were compared on the A zone which showed high visibility frequency. Asa comparative result, there was insignificant difference(3.3%) in area between the tree removal plan($10,935m^2$) and removal execution($11,296m^2$). This study proved the Cumulative Visibility Analysis and Multiple Sight Surface Analysis to be effective for forest scape maintenance around a mountain fortres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동진(2004). 도시 경관계획과정 지원을 위한 GIS의 활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종훈(2006). 신라왕경의 방어체계: 경주 지역 성곽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27:1-21.
  3. 김성운, 김찬호(2008). 높이규제를 위한 시곡면분석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43(6):71-80.
  4. 김용성(2006). 신라왕도의 범위에 대하여. 신라문화. 28:7-33.
  5. 김충식(2006). 부산 신항만 욕망산 경관계획. 한국조경학회지. 33(6): 27-139.
  6. 김충식, 이재용, 김영모(2011). 누적가시도 분석을 이용한 신라시대의 산성 입지와 감시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3): 12-21.
  7. 경주시(2009). 경주 남산신성 종합정비 기본계획.
  8. 경주시(2008). 명활산성 종합정비 기본계획.
  9. 박방룡(1992). 新羅王都의 守備-慶州地域山城을 中心으로. 신라문화. 9: 25-38.
  10. 박방룡(1998). 신라 도성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서종주(1999). 도시공간특성에 따른 경관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이상복, 이승엽, 하재명(2009). 불가시심도분석의 설계 및 구현.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2(3): 66-75.
  13. 한국조경학회(1989). 조경수목학.
  14. Franklin, W. R. (2002). Siting observers on terrain. In: D. Richardson and P. van Oosterom (eds), Advances in Spatial Data Handling: 10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Spatial Data Handling, Springer-Verlag, pp. 109-120.
  15. Ray, C. K. (1994). Representing Visibility for Siting Problems. PhD thesis.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16. Jenks,George F. (1967). The data model concept in statistical mapping. International Yearbook of Cartography. 7:186-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