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eoenvironmental Influence on the Recycled Soil from Demolition Concrete Structures for using in Low Landfilling

건설폐토석의 성토에 따른 지반환경적 영향

  • 신은철 (인천대학교 도시과학대학 건설환경공학전공, 인천방재연구센터) ;
  • 강정구 (인천대학교 도시과학대학 건설환경공학전공) ;
  • 안민희 (인천대학교 도시과학대학 건설환경공학전공)
  • Received : 2011.08.09
  • Accepted : 2011.11.18
  • Published : 2011.12.01

Abstract

The recycled soil that is proceeded from demolition concrete structures was analyzed by the methods of the physical and mechanical tests of soil and TCLP test to use the soil in low landfilling for the construction of an industrial complex. The laboratory test for diffusion of alkali ion in soil mass was analyzed by the methods of XRF and ICP. The fish toxicity test was also conducted to find an environmental influence. The recycled soil through the laboratory test satisfied the engineering property for low landfilling and the criteria of soil contamination. However, the solution which producted by 1:1 ratio of recycled soil and water contained the high pH concentration by alkali ion. The calcium hydroxide solution by CSH cement paste was estimated as the main reason why pH concentration is increased more than 9.0. The high pH concentration in recycled soils causes a toxicity to the livability of fishes. A diffusion area of pH concentration in the ground was analyzed by the Visual Modflow Ver. 2009 program based on geotechnical investigation. The high pH concentration in the recycled soils can be remained as high value due to cement paste in the long term period. Therefore, in the early stage of landfilling work, the mixing with the weathered granite soil is necessary to control the pH concentration.

산업단지 조성 시 건설폐토석을 활용하기 위해 건설폐기물로부터 선별 처리된 토석에 대하여 물리 역학적 특성과 용출 특성을 분석하였다. 지반 내 알칼리 이온의 확산에 대한 실험은 XRF, ICP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환경적인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어류독성시험을 병행하였다. 건설폐토석은 실내실험에서 공학적인 성토기준과 토양오염 기준을 만족하였다. 그러나 건설폐토석과 물이 1:1의 비율로 혼합된 수용액은 알칼리 이온에 의해 높은 농도의 pH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이온농도가 9.0이상으로 상승하는 주요 원인은 CSH계 시멘트 성분에 의한 수산화칼슘용액인 것으로 추정된다. 건설폐토석 내 높은 pH 농도는 어류의 생태에 독성을 유발하게 된다. 조사자료를 바탕으로 Visual Modflow Ver. 2009를 이용하여 지반 내 pH 농도의 확산범위를 분석하였다. 건설폐토석 내 높은 pH 농도는 시멘트 성분으로 인해 장기간 동안 존재할 수 있으므로 성토 초기에 양질의 화강풍화토와 혼합하여 pH를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민선, 이정희, 임태효, 남성남, 김 나, 연진모(2011), 무기계, 건설폐기물 처리 및 자원화 : 순환골재 및 건설폐토석의 재활용용도 확대방안연구, 2011년도 춘계학술연구회발표논문집,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pp. 130-132.
  2. 신은철, 박정준(2009), 최신지반환경공학, 씨아이알, 서울, pp. 25-107.
  3. 이민효, 최상일, 이재영, 이강근, 박재우(2006), 토양지하수환경, 동화기술, p.38.
  4. 오세범(2008), 연약점토의 화학적 안정처리에 따른 지반강화 효과 비교분석,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pp. 7-60.
  5. 윤성민(2006), 해외 건설폐기물 처리현황과 순환골재 재활용 사례, 건설경제 2006년 겨울호, 국토연구원, Vol. 50, pp. 90-103.
  6. 이용수, 권용완, 현재혁(2005), 도로건설재료로 순환골재의 공학적 환경적 특성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Vol. 6, No. 3, pp. 17-23.
  7. 천병식, 이재영, 하광현(2002), 지반주입재 종류별 주입특성 및 환경적 유해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Vol. 3, No. 4, pp. 37-49.
  8. 최두성, 문성환, 조균형(2008), 현장조사를 통한 건설폐기물 재활용 실태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Vol. 24, No. 4, pp. 13 3-140.
  9. Daniel, D. E.(1993), Geotechnical Practice for Waste Disposal, Chapman & Hall, London, pp. 66-93.
  10. Ham, R. K., Anderson, M. A., Stegmann, R., Stanforth, R.(1979), Comparison of Three Waste Leaching Tests, EPA-600/2-79-071, U. 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pp. 24-195.
  11. Johnson, A. I.(1967), Specific Yield-compilation of Specific Yields for Various Materials, U. S. Geological Survey Water Supply Paper 1662-D, p. 74.
  12. Quigley, R. M., Yanful, E. K. and Fernandez, F.(1987), Ion Transfer by Diffusion Through Clayey Barriers, Geotechnical Practice for Waste Disposal, Special Publication No. 13, R. D. Woods, ASCE, New York, N.Y., pp. 137-158.
  13. Shackelford, C. D.(1991), Diffusion in Saturated Soil I : Background, Journal of Geotechnical Engineering, Vol. 117, No. 3, pp. 467-484. https://doi.org/10.1061/(ASCE)0733-9410(1991)117:3(467)
  14. Stephan, C. E.(1977), Methods for Calculating an LC50, In Aquatic Toxicology and Hazard Evaluation, F. L. Mayer and J. L. Hamelink, Eds., ASTM Philadelphia, PA, pp. 65-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