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광제정(光霽亭) 장소 전승의 함의와 의미맥락

Implication and Its Meaning Contact of Gwangje-jeong's Place Transmission

  •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 이석우 (우석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이정한 (우석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정경숙 (우석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김영숙 (우석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Rho, Jae-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 Lee, Suk-Woo (Graduated School of Landscape Architecture, Woosuk University) ;
  • Lee Jung-Han (Graduated School of Landscape Architecture, Woosuk University) ;
  • Jung, Kyung-Suk (Graduated School of Landscape Architecture, Woosuk University) ;
  • Kim, Young-Suk (Graduated School of Landscape Architecture, Woosuk University)
  • 투고 : 2011.07.15
  • 심사 : 2011.08.17
  • 발행 : 2011.09.30

초록

본 연구는 전북 임실군 삼계면에 소재한 광제정의 건립 배경 및 연혁 그리고 장소 및 공간특질에 대한 분석과 해석을 통해 광제정 조영 및 이건(移建)에 담긴 상징과 장소적 함의를 추찰(推察)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옛 광제정 터와 현 광제정에 대한 '물리적 환경 인간활동 상징성과 의미'를 중심으로 해석할 때 다음과 같은 장소성과 장소전승의 의미가 도출되었다. 정명(亭名)의 '광제(光霽)'란 선비로서 혼탁한 속세에 물들지 않겠다는 매당(梅堂) 양돈(楊墩)의 지조를 상징하며, 이는 매당 생존의 시대상황과 무관치 않다. 광제정의 누정제영을 통해, 은일을 실현코자 한 매당의 심정과 광풍제월의 마음으로 우뚝 선 기상이 엿보인다. 광제정중건기를 통해 볼 때 광제정에 매화를 심고 광제라는 현판을 내건 주체가 바로 매당 자신이며 매당뿐만 아니라 사후에도 광제정은 매당을 기리는 상징물로 존재해 왔는데 이는 경사지를 이용해 조성된 돈대(墩臺)와 매화 식재에서도 확인된다. 또한 광제정 입구 '숙호(宿虎)마을'과 광제정 우측으로 돌출된 '복호암(伏虎巖)'은 매당을 배향하는 공간이라는 장소성이 함축된 표현이며, 이곳에 새겨진 양집하의 5언시에도 매당을 추념하는 공간 아계사(阿溪祠)의 장소성이 잘 묘사되어 있다. 매당을 배향한 아계사가 고종5년(1868) 훼철되면서 그 유지(遺址)는 '광제정 이건을 위한 터'로의 쓰임새를 보였다. 광제정 건립 이후 최소 359년간 이어져 왔던 후천리 옛 광제정 터와 그 주변은 광제정의 이건에도 불구하고 '광제정 광제마을 광제교 광제천' 등의 지명 속에 '광제'라는 전부지명소로 남아 매당을 기리는 장소로 전승되고 있다. 광제정은 남원 양씨 종중의 '연대의 공간'이라는 뚜렷한 구심적 장소로, 전승될 수 있었던 배후에는 선조의 덕업을 숭상하며 시대적 고민을 함께한 후손과 종중 및 교우자 간의 동료의식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장소 전승의 이면에는 매당의 인품과 '광풍제월'의 기상을 기리고자 하는 추모의 정 그리고 선조의 덕업을 이어받아 지켜나가는 '봉선(奉先)'의 정신이 깊이 작용했던 것으로 해석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understand the symbol and locational meanings in building and relocating Gwangje-jeong(光霽亭) through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n the construction background, history, the location and its characteristics. Concerning physical environment, human activities, the symbol and meanings of the formal Gwangje-jeong site and the present location, the study was concluded about the site and its meaning of tradition as following. Gwangje, the name of the pavilion, represents the fidelity of Maedang(梅堂) Yangdon(楊墩) who refused as Seonbee(a man of virtue) to be tainted with the corrupt world, which was related with the situation at that time. It implies Maedang's feeling of realizing Noojeongjeyong(樓亭題詠) of Gwangje-jeong along with the high spirit of Gwangpoongjewol(光風霽月). According to the record about rebuilding Gwangje-jeong, Maedang was the very person who planted plum flowers at the pavilion and put up the tablet of its name, Gwangje. Even after his death, Gwangje-jeong was the symbol indicating Yangdon, given the triple high ground and the planting of plum flowers. Also, Sookho(宿虎) town at the entrance of Gwangje-jeong and Bokhoam(伏虎巖: a rock) at the right side of the pavilion signifies the location for praising Maedang Yangdon, and the Yangjipha's Oensi(五言詩: five words verse) engraved on the rock gives a good description about the place, Agyesa that worshiped Yangdon. As Agye-Sa(阿溪祠) where Yangdon was worshiped and praised had been abolished in the 5th year under the Kojong's reign(1868), the spirit praising Maedang had finally been used for the relocation of Gwangje-jeong. Despite the relocation of Gwangje-jeong, the old Gwangje-jeong site has remained at least for 359years at Hucheonli, and its surroundings have maintained the name 'Gwangje' as the front place name morpheme, for example, 'Gwangje-jeong,' 'Gwangje Town,' 'Gwangje Bridge' and 'Gwangje Creek,' for symbolizing the praising of Maedang. Gwangje-jeong, as the center place of solidarity among Namwon Yang's family clan, has been able to maintain its symbol and meanings in spite of relocation, mainly because of the fellowship among the descendants, family clan and alumni who respected virtuous achievements of ancestors and shared the agony of the time. In addition, the symbolism has been preserved since the spirit of Gwangpoonjewol of Yangdon and his high character were cherished along with the spirit of Bongseon(奉先) that inherited and kept virtuous achievements of ancestor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정윤, 김진균(2006). 정자건축 瀟灑亭의 공간적 특성과 의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6(1): 261-264.
  2. 국토지리정보원(2010). 한국지명유래집; 전라-제주편.
  3. 김두규, 김용기, 김현욱(2001). 풍수지리 관점으로 해석한 歸來亭입지에 관한 연구: 歸來亭記를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9(4): 39-46.
  4. 김성진(2008). 河西金麟厚의 生涯와 詩文學的性向. 한문고전연구. 16:8-110.
  5. 남원문화원(1995). 용성지. pp. 102-104.
  6. 노재현, 신상섭(2007). 역사경관의 이미지 형성 과정으로 본 寒碧堂.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4): 52-64.
  7. 노재현, 신상섭(2008). 통시적 관점에서 본 한벽당(寒碧堂)의 변천과정. 한국조경학회지. 35(6): 97-109.
  8. 노재현, 신상섭, 신병철(2009). 樂德亭 造營에 깃든 場所性과 '河西金麟厚의 性理學'的意味.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2): 89-104.
  9. 박종우(2008). 16세기 누정의 공간적 특성과 누정제영의 문학사적 의미: 호남지역 누정제영을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 32: 255-284.
  10. 박준규(1997). 조선 전기 전북의 누정제영고. 호남문화연구. 25; 251-283.
  11. 신상섭, 노재현, 신병철(2009). 진안 睡仙樓를 통해 본 道家的자연관과 풍류문화.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4): 83-92.
  12. 신상섭, 노재현, 최형철(2009). 永慕亭(影碧樓)'에서 발견되는 樓亭의 普遍性과 特殊性.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2): 31-42.
  13. 안계복(1989). 한국의 樓亭名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문화연구. 5:145-223.
  14. 양만정(1990). 淳昌龜尾의 歷史에 대한 考察. 한국향토사연구전국협의회. 향토사연구. 2: 75-90.
  15. 오용원(2007). 누정기의 문체적 특성과 공간적 상상력. 어문논총. 47:191-221.
  16. 이상식(1997). 全北地方樓亭의 歷史的意味. 호남문화연구. 25: 285-307.
  17. 이현우(2010). 披香亭일원의 입지 및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3): 85-97.
  18. 이현우(2011). 16-18세기 누정 문화경관의 의미론적 해석.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이현우, 김재식(2010). 누정편액(樓亭扁額)에 반영된 자연인식과 서정: 16세기 담양 시가문화권의 누정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3):1-13.
  20. 임실군 삼계면사편찬위원회(2000). 삼계면사. 回想社. pp. 138-445.
  21. 임실군(2010). 광제정 보수정비공사 평면도. 길건축사무소.
  22. 임실문인협회(2007). 임실 우리마을 옛이야기.
  23. 임실문화원(2009). 任實의 金石文. pp. 237-238.
  24. 임영배, 천득염, 박익수, 이용범, 박아연(1997). 全南地方樓亭의 建築的特性. 호남문화연구. 25: 215-249.
  25. 전라북도 전북향토문화연구회(2000). 전북의 누정. pp. 146-147.
  26. 전라북도(1997). 전라북도문화재대관. 도지정편(하). pp. 402-403.
  27. 최만봉(2001). 전북지방의 전통적인 누정 원림의 입지적 특성 및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5(3): 39-57.
  28. 허균(2002). 한국의 정원 선비가 거닐던 세계. 서울: 다른세상.
  29. http://100.naver.com/100.nhn?docid=140375
  30. http://100.naver.com/100.nhn?docid=29525
  31. http://kc.imsil.go.kr/sboard/view.html?bbs_id=gwanchon_6&doc_num=7
  32. http://kidhelp.dobong.go.kr/intro/02_01.asp
  33. http://nonsan.grandculture.net
  34. http://nonsan.grandculture.net/Contents/Index?contents_id=GC02001238
  35. http://people.aks.ac.kr/front/tabCon/ppl/pplView.aks?pplId=PPL_6JOc_A1800_1_0021466
  36. http://sam.imsil.go.kr/sboard/list.html?&bbs_id=samgyemye_13&page=2#
  37. http://www.google.com/earth/index.html
  38. http://www.scmw.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