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n the Curriculums of the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Aided by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중소기업청 지원에 의한 공업 계열 특성화고 교육과정 편성 실태 분석

  • Received : 2011.07.31
  • Accepted : 2011.09.23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easures to improve the curriculums of the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aided by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through estimating whether they have satisfied the purpose of the aids and analyzing the related factors. Among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aided by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49 technical high schools which comprised the largest proportion were chosen as subjects for this study. Among the 49 subjects, 57.1%(28 schools) are reported to be suitable, 36.7%(18 schools) so-so, and 6.2%(3 schools) unsuitable for the curriculums. The curriculum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aided by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were mostly associated with the local strategic business. However, many of them implemented the pre-existed curriculums because they didn't reflect the job analysis of the business properly. To establish more effective curriculums of the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aided by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most of all, guides for them should be prepared in its level. Also, midium and long-term development plans of school departments should be made to reorganize the current departments which hinder the specialization in curriculums by government or offices of education. Finally, a conference of government departments on the curriculum establishment should be organized.

이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청 지원 특성화고가 중소기업청의 해당 소관 산업 분야 및 지원 목적에 부합한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판별하고, 관련 내용들을 분석하여, 중소기업청의 요구에 부합할 수 있는 학교 교육과정 편성과 관련된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청이 지원하는 특성화고 전체 계열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49개의 공업 계열 특성화고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교육과정 분석틀을 개발하였으며, 질적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객관적인 자료 분석을 위한 결정표와 자료 분석흐름도를 개발하였고, 자료 분석 위원에 의해 교육과정 편성 실태를 분석하였다. 또 중소기업청 지원 특성화고 육성사업 담당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청 지원에 의한 특성화고의 특성화 분야 및 학과 체제 구축 여부에 대하여, 대부분의 특성화고가 중소기업청이 요구하는 지역 전략 산업에 부합하도록 학교 특성화 분야를 선정하고 있었으나, 이와 연계된 학교 인력 양성 목표는 기존의 학교 인력 양성 목표를 그대로 제시하거나 일반 산업의 기능 인력 양성을 위한 목표로 제시되고 있었다. 둘째, 중소기업청 지원에 의한 특성화고의 일부 학과 및 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은 해당 특성화 분야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거나, 소수 특성화 관련 교과목만을 교육 내용에 포함시켜 교육과정으로 편성하고 있었다. 셋째, 내실 있는 중소기업청 지원 특성화고의 교육과정 편성을 위한 개선 방안으로 (1) 중소기업청이 지원하는 핵심 산업 분야와 특성화고의 중장기 발전 방안과 연계된 맞춤형 특성화 교육과정이 개발 편성되어야 한다. (2) 산업 기술 변화에 따라 중소기업청 지원에 의한 특성화고에서 운영되고 있는 교육과정 실태에 대한 개선 및 피드백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3) 중장기적으로 중소기업청 지원에 의한 특성화고는 학교가 스스로의 자생력을 가지고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운영하여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개혁위원회 (1996).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방안(II).
  2. 교육인적자원부(2007). 희망을 실현하는 전문계고 육성 전략. 교육인적자원부.
  3. 교육인적자원부(2000). 실업계 고등학교 육성대책. 교육인적자원부.
  4. 교육혁신위원회 (2005). 직업교육체제 혁신방안.
  5. 관계부처합동(2010). 고등학교 직업교육 선진화 방안.
  6. 김성권 (1991). 교육과정과 평가. 서울: 형성출판사.
  7. 나승일, 정철영, 문세연, 김은석, 정동열, 남중수(2009). 특성화 전문계고 장기발전모형 및 성과관리방안. 중소기업청.
  8. 박동열 외 (2009). 전문계고 선진화 방안. 교육과학기술부.
  9. 송달용(2007). 특성화고 평가준거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옥준필 (1998). 고등학교의 특성화 방안. 고등학교 직업교육 방향절정을 위한 심포지엄 자료집.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1. 이무근, 원상봉(2000). 직업교육과정과 평가 서울:교육과학사.
  12. 이무근(2004). 직업교육학원론. 서울: 교육과학사.
  13. 이병욱, 김선태, 류병구(2006). 고등학교 공업 계열(기계영역) 교육과정 개정시안 연구 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4. 이병욱, 임세영, 이상봉, 황정훈, 김충환(2010). 산학 협력 인력 지원 사업 발전 방안. 중소기업청.
  15. 이병욱(2010). MB 정부의 중등 단계 직업교육 정책과 과제. 직업교육 관련학회 . 단체 공동학술대회 및 고교 직업교육 선진화 연구대회 자료집. 3-44.
  16. 이용숙(2005). 교육인류학 연구방법과 사례. 서울: 아카넷.
  17. 이용숙(1998).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서울: 교육과학사.
  18. 이용순(1998). 제 7차 공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편성 . 운영 방안 연구. 직업능력개발 연구. 1. 247-283.
  19. 이용순, 이병욱(2005).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실태 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 이종성, 정향진 (2004).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개편 방향 탐색.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1. 이종성 (2005). 직업교육과정의 종합적 고찰.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2. Norton, Robert E. (1999), SCID: Systematic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development workshop(3rd ed.). Center on Education and Trairung for Employment, The Ohio State University 1900 Kenny Road . Columbus, Ohio 43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