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eaching and Learning Effects of Structural-Mapping used Instruction in Permutation and Combination

구조적 동형을 활용한 순열과 조합의 교수.학습 효과

  • Received : 2011.08.08
  • Accepted : 2011.09.26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eaching and learning effects of the structural-mapping used instruction an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problem solving process in permutation and combination. For this study, two classes of 11th grade students(67 student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S high school in D city. One of them was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to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Four lectures of the structural-mapping used instruction were carried out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same amount of lectures of the text book oriented instruction were carried out in the control group.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al-mapping used instruction is shown to be more effective in achievement than the traditional textbook-oriented instruction. Second, the ball-box model is found out to be easier and simpler than the selection-distribution model. Third, students who used the ball-box model are properly able to use both model.

본 연구는 구조적 동형을 활용한 순열과 조합의 교수 학습이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에 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특징이 무엇인지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S고등학교 2학년 2개 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반에는 4차시의 구조적 동형을 활용한 수업을, 비교반에는 4차시의 기존의 교과서 중심의 수업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구조적 동형을 활용한 수업은 기존의 교과서 중심의 수업보다 학업 성취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실험반의 5명을 대상으로 성취도 검사지를 분석하고 면담한 결과, 학생들은 순열과 조합 문제에서 '서로 다른', '서로 같은'과 같은 표현이 있으면 구조적 동형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더 쉽다고 하였고, 공 상자 모델에서는 공과 상자의 구별 여부만 판단하면 되므로 기존의 방법보다 더 많이 사용한다고 하였다. 또, 구조적 동형을 이해하는 학생들은 문제를 해결할 때 공 상자 모델과 기존의 방법 중에서 각 문항에 적절한 풀이 방법을 스스로 택하여 해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미정․김용구․정인철 (2009). 발견을 통한 순열과 조합 지도방안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8(2), 113-139.
  2. 김원경․문소영․변지영 (2006). 수학교사의 확률과 통계에 대한 지식과 신념,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5(4), 381-406.
  3. 이재학․정상권․박혜숙․홍진곤․박부성․김정배․김상훈 (2008). 고등학교 수학 익힘책 I. 서울 : (주)금성출판사.
  4. 이지현․이정현․최영기 (2005). 순열 조합 문장제의 문제변인과 오류분석. 학교수학, 7(2), 123-137.
  5. 이주영․김서령․박혜숙․김완순 (2006). 조합문제사이의 구조적 동형.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5(1), 123-138.
  6. Batanero, C., Navarro-Pelayo, V. & Godino, J. D.(1997). Effect of the Implicit Combinatorial Model on Combinatorial Reasoning in Secondary School Pupil,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32, 181-199. https://doi.org/10.1023/A:1002954428327
  7. Dubois, J. G. (1984). Une systematique des configurations combinatories simple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5(1), 37-57. https://doi.org/10.1007/BF00380438
  8. English, L. D., & Halford, G. S. (1995). Mathematics education: Models and processes, New Jersey : Lawrence Erlbaum Associates.
  9. English, L. D. (1999). Reasoning by analogy: A fundamental process in children's mathematical learning. In L. V. Stiff & F. R. Curcio (Eds.), Developing mathematical reasoning K-12 (1999 Yearbook of NCTM, 22-36.), Reston VA : NCTM.
  10. Genter, D. (1983). Structure mapping: A theoretical framework for analogy, Cognitive Science, 7(2), 150-170.
  11.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 NCTM.
  12. Roberts, F. S. (1984). Applied combinatorics, New Jersey : Prentice-Hall.
  13. Sowder, L. (1988). Choosing operations in solving routine story problem , In R. I. Charles & E. A. Silver (Eds.), The teaching and assessing of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Vol. 3),148-158, Virginia: Lawrence Erlbaum.
  14. Sriraman, B., & English, L. D. (2004). Combinatorial mathematics: Research into practice, Mathematics Teachers, 98(3), 182-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