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도계 석탄폐석 적치장 주변지반의 지형변화 조사 및 분석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Ground Deformation at a Coal Waste Depot in Dogye

  • 조용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
  • 송영석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
  • 김경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 Cho, Yong-Chan (Geologic Environment Hazards Division, Korea Inst. Geoscience and Mineral Res) ;
  • Song, Young-Suk (Geologic Environment Hazards Division, Korea Inst. Geoscience and Mineral Res) ;
  • Kim, Kyeong-Su (Geologic Environment Hazards Division, Korea Inst. Geoscience and Mineral Res)
  • 투고 : 2011.06.08
  • 심사 : 2011.08.24
  • 발행 : 2011.09.30

초록

강원도 삼척시에 위치한 도계 석탄폐석 적치장 주변지반에서 지반변형이 발생되었다. 대상지역에서의 지반변형 원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추조사 및 현장조사를 통한 지반조사와 기존 발간된 지형도를 이용한 지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시추조사결과 상부에 토층이 9-28.5 m로 존재하고 있으며, 대상지역에 발생된 주요 균열을 조사한 결과 $240{\sim}250^{\circ}$ 방향으로 지반이 변형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기존 발간된 지형도를 이용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대상지역에서는 지속적으로 석탄폐석이 적치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지반조사 및 지형분석결과를 토대로 대상지역의 지형변화 원인을 분석한 결과 대상지역에 존재하는 두꺼운 토층이 내적요인이며, 석탄폐석의 지속적인 적치로 인한 하중증가 및 하단부에서의 사면절취가 외적요인으로 나타났다.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ground deformation around the Dogye coal waste depot in Samcheok city, Gangwon Province, we undertook a field survey and performed boring tests and a topographic analysis using maps compiled in various years. The results of boring tests and analyses of ground fractures indicate that the thickness of the soil layer ranges from 9 to 28.5 m and that ground deformation has occurred to the $240{\sim}250^{\circ}$ direction. The topographic analysis revealed that the topography of the site has changed continuously due to the dumping of coal waste. The causes of ground deformation, investigated by both field surveys and the topographic analysis, were the thick layer of soil at this site, the loading weight of coal waste, and the excavation at the lower part of the slop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기천, 안남규, 오재일, 김태형, 2005, 석탄광산에서 발생된 대규모 폐광석 더미에 대한 안정성 검토, 지질공학, 15(2), 133-144.
  2. 강상수, 정영욱, 최성범, 백환조, 2004, 석탄광산 폐석사면의 안정성 해석,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지, 41(4), 291-300.
  3. 권현호, 심연식, 이진수, 김태혁, 김정아, 윤석호, 남광수, 2007, 광해의 원인과 방지대책, 광해방지기술, 1(1), 5-25.
  4. 국립지리원, 1987, 장성(012) 및 장성(013)도엽(1:5000).
  5. 국립지리원, 1989, 장성(012) 및 장성(013)도엽(1:5000).
  6. 국립지리원, 2001, 장성(012) 및 장성(013)도엽(1:5000).
  7. 대한광업진흥공사, 1990, 한국의 석탄광(상), 410p.
  8. 대한광업진흥공사, 1992, 한국의 석탄광(하), 621p.
  9. 서해길, 김동숙, 박석환, 임순복, 조민조, 배두종, 이돈영, 유양수, 박정서, 장윤환, 1979, 탄전지질도; 삼척탄전, 자원개발연구소, 22p.
  10. 송영석, 홍원표, 2007, 퇴적암지역에서의 산사태 원인 및 특성분석에 대한 사례연구, 지질공학, 17(1), 125-133.
  11. 조용찬, 채병곤, 송영석, 박삼규, 2010, 석탄폐석 적치장으로 인한 하부 자연사면의 지형변화, 2010 추계지질과학 연합 학술발표회 논문집, 143.
  12. 지상우, 2004, 국내 산성광산배수 자연정화시설의 분석과 갱내황산염 환원시설 모형실험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54p.
  13. 지상우, 임길재, 2009, 광해와 광해방지기술 (제1편) -광해의 종류와 국내 현황을 중심으로-, 한국토목섬유학회학회지, 8(3), 21-26.

피인용 문헌

  1. Deformation measurements and a stability analysis of the slope at a coal mine waste dump vol.68, 2014, https://doi.org/10.1016/j.ecoleng.2014.03.005
  2. Estimation on Unsaturated Characteristic Curves of Tailings obtained from Waste Dump of Imgi Mine in Busan vol.30, pp.3, 2014, https://doi.org/10.7843/kgs.2014.30.3.47
  3.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a Slope at a Coal Waste Depot through Analysis of Monitoring Results vol.23, pp.1, 2013, https://doi.org/10.9720/kseg.2013.1.19
  4. 삼척탄전 내 ${\bigcirc}{\bigcirc}$지역에서 발생한 지반 거동의 방향 분석 vol.22, pp.1, 2011, https://doi.org/10.9720/kseg.2012.22.1.059
  5. 현장 모니터링 결과를 이용한 광미 적치사면 안정성의 수치해석적 연구 vol.27, pp.1, 2011, https://doi.org/10.9720/kseg.2017.1.21
  6. 무인 항공 사진측량을 이용한 절토사면의 땅밀림 시계열 분석 vol.30, pp.4, 2011, https://doi.org/10.9720/kseg.2020.4.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