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홍수 혹은 융설로 인한 대량의 담수유입은 만에서의 염분농도를 급격히 저하시키며, 그러한 변화는 근해 생물들의 서식환경을 파괴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자연환경의 적절한 활용 및 생물들의 보호를 위해 만에서의 염분분포를 정량적으로 파악하는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1차적으로 위성영상과 탁도와의 상관성을 조사하고, 2차적으로는 탁도와 염분농도와의 상관성을 이용하여 만에서의 염분분포를 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성영상의 RGB밴드와 탁수와의 변별력 평가를 위해 만을 4개 구역으로 분할하여 비교하였으며, Band2와 Band3의 조합이 탁수거동 재현에 가장 효과적임을 규명하였다. 둘째 관측소로부터 하구까지의 도달시간을 계산한 후 상류에서 관측된 탁도로부터 하구의 탁도를 추정하였다. 셋째 하구에서의 탁도와 심해의 염분농도와의 관계를 이용하여 위성영상을 염분분포로 변환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만에서의 염분분포 조사방법은 대상지역의 공간적 특성을 고려해 볼 때 비교적 신뢰할 만하다고 사료된다.
Any significant inflow of fresh water due to flood or snow melting can rapidly reduce salinity at the bay. In such a case, the habitat environment in the sea near river mouth can be partly destroyed. Therefore, research to understand the salinity distribution quantitatively at the bay for the utilization of natural environment and for the inhabitant conservation must be very important. In this study, the investig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ellite image and turbidity is carried out first, and then the salinity distribution at the bay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urbidity and salinity is deriv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appearance ability of RGB bands respectively of the satellite image is investigated, and then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bination of band2 and band3 expressed best the movement characteristics of turbid water at the bay is chopped up into 4 small areas. Second the turbidity of river mouth is estimated using the travel time from the upward monitoring station to the river mouth. Finally the satellite image is converted into the salinity distribution by the correlation of salinity and turbidity. It is confirmed that the salinity distributions obtained from above three investigation methods are quite reasonable and cle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