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스널 컬러 인식에 따른 색조 화장품 구입 및 사용행동

A Study on the Point Makeup Purchasing and Us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Personal Color Awareness

  • 우수진 (전북대학교 대학원 의류학) ;
  • 김용숙 (전북대학교 의류학과 / 인간생활과학연구소)
  • Woo, Soo-Jin (Dept. of Clothing & Textiles, Graduate School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Yong-Sook (Dept. of Clothing & Textile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Research Institute of Human Ecology)
  • 투고 : 2011.02.14
  • 심사 : 2011.10.04
  • 발행 : 2011.10.31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point makeup purchasing and us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personal color awareness. Most women considered their favorite color first when purchasing lipsticks and skin color when purchasing cheek powder or foundation. They considered makeup concept first when applying lipsticks, eye shadows, and cheek powder but skin color applying foundations and manicures. Factors of personal color awareness were preferences & utilization awareness, other's advice, and direct awareness, and were segmented into PC intermediate group, high PC group, and PC retard group. PC intermediate group were in the late 20's and the early 30's, average incomes with high education, and patronized discount stores for point makeups, used fashion color as a criterion when selecting lipsticks, foundations, and manicures, apparel color when applying eye shadows, skin color when applying cheek creams, and preferred imported lipsticks and manicures. High PC group were among unmarried women in the early 20's, university students, high income households with medium level of pocket money, spent more for point makeup, and patronized department stores and internet shopping mall, used skin color or fashion color as criteria when selecting point makeup, referenced makeup concept when applying point makeup, preferred imported point makeup. PC retard group were among married women in the late 30's with low education and low income, spent less for point makeup and pocket money, and selected domestic point makeup, used their favorite color as a criterion when selecting point makeups and apparel color when applying lipsticks and cheek creams.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아라 (2010). "퍼스널 컬러가 유행인식, 자기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미란, 이귀영 (2007). "실용한국섬유표준색 모음집을 활용한 퍼스널 컬러 진단 방법 제안." 한국미용학회지 13권 3호.
  3. 김미현 (2007). "결혼 여부에 따른 색조 화장품 구매행동." 한국두피모발미용학회지 5권 2호.
  4. 김미현, 이혜주 (2008). "여성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색조 화장품 사용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7권 5호.
  5. 김영란 (2008). "대학생의 국산화장품과 수입화장품 구매동기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14권 2호.
  6. 김영인, 주미영, 이현주, 김희연 (2005). "개인의 색채이미지 유형에 의한 국내 색조 화장품의 스토리 개발과 색채계획." 복식 55권 6호.
  7. 박화순 (2001). "대학생들의 피부색과 머리카락색에 따른 개인 색채 유형분류." 한국의류학회지25권 3호.
  8. 박화순 (2002). "개인 색채 유형에 따라 어울리는의복색 경향." 복식 52권 6호.
  9. 신향선 (2002). "퍼스널 컬러 시스템에 따른 유형의분포도와 색채 진단 변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오희선 (1999). "퍼스널 컬러에 관한 연구." 패션비즈니스 3권 2호.
  11. 우선진 (2006). "퍼스널 컬러 시스템에 따른 네일컬러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원명심, 이명숙 (1998). "한국 여대생의 의복 및 화장품색채 선호에 관한 연구." 한국색채학회지 .
  13. 이해영 (2004). "색조 화장에 있어 퍼스널 컬러 인지도와 유형별 색채 선호도 조사." 중앙대학교의약식품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조규화, 이규영 (2005). "수도권 여대생의 기초 피부 색조 화장품 사용 실태에 관한 연구." 패션비즈니스 9권 2호.
  15. 조병숙 (2005). "색조 화장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하병조 (2000). 화장품학 . 서울: 수문사.
  17. 한명숙 (2002). "퍼스널 컬러에 대한 선택요인 및만족도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4권 4호
  18. 홍미숙 (2005). "한국인의 퍼스널 컬러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홍미숙 (2005). "한국인의 퍼스널 컬러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Jewell, D. L. (1986). Making up by Rex. New York: Clark Potter.
  21. Matsuura, S. (2004). "일본에서의 퍼스널 컬러 시스템 추이." 한국의류산업학회지 6권 5호.
  22. McJimsey, H. T. (1973). Art and Fashion in Clothing Selection. 2nd ed., Ames: Iowa Stat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