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거리의 주간활동인구 측정과 해석: 서울시 유동인구 조사 사례

How to Measure Daytime Population in Urban Streets?: Case of Seoul Pedestrian Flow Survey

  • 변미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미래정책연구단) ;
  • 서우석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사회학과)
  • 투고 : 2011.06.24
  • 심사 : 2011.07.11
  • 발행 : 2011.07.30

초록

도시의 행정수요 측정과 도시경제 운영을 위해 주간활동인구를 파악해야 할 필요성이 증가하였다. 상주인구를 보완하는 개념으로서 센서스의 통근 통학 자료에 근거를 둔 주간인구가 활용되고 있으나 서비스 경제가 압도적인 서울과 같은 대도시의 주간활동인구 파악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의 주간활동인구를 파악하기 위한 개념으로서 유동인구를 제시하고 서울시 유동인구 조사의 방법을 소개하였으며 주요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유동인구 조사자료의 분석 결과 센서스 기반 주간인구에서는 파악할 수 없었던 시간대별, 공간대별 도시 주간활동인구의 분포를 밝힐 수 있었다. 끝으로 유동인구 조사자료를 통해 파악한 주간인구와 센서스 기반 주간인구를 자치구 수준에서 비교함으로써 유동인구 조사 자료의 주요 특성들을 밝혔다.

It is increasingly important to estimate daytime population for the sake of urban administration and urban economy. The estimation of daytime population using a census data on commute, however, has its own limits, particularly when applying to the metropolis such as Seoul which is dominated by the service industry. This study suggests a pedestrian flow as another estimate of daytime population and presents a methodology of Seoul Pedestrian Flow Survey. The data of pedestrian flow gives us a view into hourly and spatial distribution of daytime population, which cannot be provided by the use of census data. In addition, comparing with a census-based daytime population on the borough level show some features of a pedestrian flow as another estimate of daytime popula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