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GIS-based Deterministic MCDA Techniques for Evaluating the Flood Damage Reduction Alternatives

확정론적 다중의사결정기법을 이용한 최적 홍수저감대책 선정 기법 연구

  • 임광섭 (한국수자원공사 K-water 연구원) ;
  • 김주철 (한국수자원공사 K-water 연구원) ;
  • 황의호 (한국수자원공사 K-water 연구원) ;
  • 이상욱 (한국수자원공사 K-water 연구원)
  • Received : 2011.09.21
  • Accepted : 2011.11.08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Conventional MCDA techniques have been used in the field of water resources in the past. A GIS can offer an effective spatial data-handling tool that can enhance water resources modeling through interfaces with sophisticated models. However, GIS systems have a limited capability as far as the analysis of the value structure is concerned. The MCDA techniques provide the tools for aggregating the geographical data and the decision maker's preferences into a one-dimensional value for analyzing alternative decisions. In other words, the MCDA allows multiple criteria to be used in deciding upon the best alternatives. The combination of GIS and MCDA capabilities is of critical importance in spatial multi-criteria analysis. The advantage of having spatial data is that it allows the consideration of the unique characteristics at every poi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view, and evaluate the performance of a number of conventional MCDA techniques for integration with GIS. Even though there are a number of techniques which have been applied in many fields, this study will only consider the techniques that have been applied in floodplain decision-making problems. Two different methods for multi-criteria evaluation were selected to be integrated with GIS. These two algorithms are Compromise Programming (CP), Spatial Compromise Programming (SCP). The target region for a demonstration application of the methodology was the Suyoung River Basin in Korea.

전통적인 다기준의사결정(Multi-Criteria Decision Analysis, MCDA)기법은 복수 대안을 평가기준과 의사결정권자의 선호도에 따라 평가하여 유역 전반에 걸친 최적 대안을 선정하는 데 있어 효율적으로 사용되는 기법이다. 하지만, 홍수터 관리를 위한 유역 전반에 걸친 의사결정 정보는 지역적 특색을 반영할 수 있는 공간적 변동성을 체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능력에 제한을 받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적대안 결정시 지리정보체계(GIS)의 적용은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공간적인 차원에서 야기되는 문제의 해결과 합리적인 자원의 이용 및 배분 등을 수행하여 해당 기술 분야의 전문가들과 최종의사결정권자들의 의사결정과정에서 요구되는 각종 정보를 공간분포형태로 제시할 수 있어 상충하는 여러 목표 간의 갈등을 최소화하고, 투명하고 객관적인 의사결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본 연구에서는 홍수터 해석 분야에서 GIS와 MCDA 기법을 결합(공간형 MCDA기법)하여 홍수피해 저감대책 평가를 수행하였다. 수자원 분야의 고전적인 MCDA기법인 CP (Compromise Programming)와 SCP (Spatial Compromising Programming)기법 적용을 위해 부산 수영강 유역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적용성을 평가한 결과 CP기법은 해당 유역에 대해 단일 홍수피해 저감대책만을 제시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GIS와 결합된 SCP기법은 모든 격자지점의 공간특성 반영이 가능하여 관심 지점에 대한 개별 대안을 의사결정권자들에게 제시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희, 정병호, 김재경(2003). 의사결정분석 및 응용, 영지문화사.
  2. 김수정(1999). GIS 기반 의사결정기법을 활용한 홍수재해 관리,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3. 김채승(1999). 퍼지집합에 기반한 GIS 적지분석에 관한 연구-무등산 도립공원 자연보존지구 적지분석을 사례로,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4. 남광우(1998). 퍼지집합개념과 AHP를 이용한 GIS 환경 에서의 공간의사결정에 관한 연구-토지적합성평가와 시설입지분석에 관한 의사결정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5. 박태선(2002). "계층분석법을 이용한 하천의 중요도 평가 기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5 권, 제6호, pp. 685-692.
  6. 윤하연(1999). 인천광역시 환경지표의 개발과 적용. 연구 보고서 99-13, 인천발전연구원
  7. 이재응, 남동성(2007). 다기준의사결정기법을 이용한 안동다목적댐의 수문학적 안정성 증대방안 결정, 국토연구원.
  8. 이충성(2007). 유역치수계획 최적대안 결정을 위한 의사 결정모형의 개발, 박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9. 이현재, 심명필(2002). "계층분석과정(AHP)에 의한 가뭄 시 용수배분 우선순위 의사 결정."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5권, 제6호, pp. 703-714.
  10. 채미옥, 오용준(2003). "토지적성평가의 지표추출 및 지표별 가중치 분석방법 고찰". 대한지리학회 논문집, 대한지리학회, 제38권, 제5호, pp. 725-740.
  11. 최동진, 박희경(2000). "다요소 의사결정 기법을 이용한 수도산업 민영화 시나리오의 분석."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0권, 제1-B호, pp. 175-187.
  12. 한국개발연구원(2000),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 지침 연구(개정판).
  13. 한국개발연구원(2001), 수자원(댐)부분사업의 예비타당성 조사 표준지침연구(개정판).
  14. 한국개발연구원(2002), 기존댐 합리적 용수배분을 통한 수리권 조정 방안 연구.
  15. Dauer, J.P., and Krueger, R.J. (1980). "A multiobjective optimization model for water resources planning." Appl. Math. Model., Vol. 4, pp. 171-175. https://doi.org/10.1016/0307-904X(80)90127-4
  16. Goicoechea, A., Hansen, D.R., and Duckstein, L. (1982). Multiobjective decision analysis with engineering and business applications. Wiley, New York, N. Y.
  17. Kane, J., Vertinsky, I., and Thompson, W. (1973). "KSIM: A methodology for interactive resource simulation."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9, No. 1, pp. 65-79. https://doi.org/10.1029/WR009i001p00065
  18. Nirupama, and Simonovic, S.S. (2002). A spatial fuzzy compromise approach for flood disaster management The Institute of Catastrophic Loss Reduction, London, Ontario.
  19. Novoa, J.I., and Halff, A.H. (1977). "Management of Flooding in a Fully-Developed Low-Cost Housing Neighborhood." Water Resources Bulletin, Vol. 13, No. 6, pp. 1237-1252. https://doi.org/10.1111/j.1752-1688.1977.tb02094.x
  20. Queensland, T.S.O. (2002). "Guidance on the Assessment of Tangible Flood Damages." D.O.N.R.A. Mines, ed.
  21. Romero, C., and Rehman, T. (2003). Multiple criteria analysis for agricultural decisions Elsevier, Amsterdam, Boston.
  22. Tauxe, R.R. Inman, and Mades, D.M. (1979). "Multiobjectives dynamic programming with application to a reservoir."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5, No. 6, pp. 1403-1408. https://doi.org/10.1029/WR015i006p01403
  23. Tkach, R.J., and Simonovic, S.P. (1997). "A new approach to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in water resources." Journal of Geographic Information and Decision Analysis, Vol. 1, No. 1, pp. 25-44.
  24. Traore, Z.N., and Fontane, D.G. (2007). "Managing drought impacts: Case study of Mali, Africa."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Vol. 133, No. 4, pp. 300-308. https://doi.org/10.1061/(ASCE)0733-9496(2007)133:4(300)
  25. Tsihrintzis, V.A., Hamind, R., and Fuentes, H.R. (1996). "Use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in Water Resources: A Review." Water Resources Management, Vol. 10, Number 4, pp. 251-277. https://doi.org/10.1007/BF00508896
  26. Zeleny, M. (1973). Compromise Programming Multiple criteria decision making,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Columbia, pp. 262-301.
  27. Zeleny, M. (1974). Linear multiobjective programming Springer-Verlag, Berlin, New York.

Cited by

  1. Comparative Studies of MCDM for Vulnerability Analysis in Gamcheon Basin vol.15, pp.5, 2015, https://doi.org/10.9798/KOSHAM.2015.15.5.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