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ative Study on Calculation Method for Design Flood Discharge of Dam

댐 설계홍수량 산정방법에 관한 비교연구

  • Lee, Jai-Hong (Dept. of Civil and Env. Eng., Hanyang Univ.) ;
  • Lee, Jong-Kyu (Dept. of Civil and Env. Eng., Hanyang Univ.) ;
  • Kim, Tae-Woong (Dept. of Civil and Env. Eng., Hanyang Univ.) ;
  • Kang, Ji-Ye (Korea Rural Community & Corporation Gyeongnam Regional Headquaters (KRC-GNH))
  • 이재홍 ((주)유신.한양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과) ;
  • 이정규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과) ;
  • 김태웅 (한양대학교 공학대학 건설환경공학과) ;
  • 강지예 (한국농어촌공사 경남지역본부)
  • Received : 2011.03.28
  • Accepted : 2011.10.19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In this study, past method and recent method for flood discharge with domestic multi-purpose dams in Korea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respect to the scale of watershed. Rainfall depth, temporal pattern, rainfall excess, rainfall-runoff model, parameter estimation and base flow were selected as the principal factors affecting flood discharge and effects on flood discharge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by using sensitivity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lood discharges calculated by past and recent method increased and decreased with a wide range of discharge with respect to the scale of watershed. The reason for decrease of flood discharge is the exchange of temporal pattern of rainfall and the principal reasons for increase of flood discharge are the increase of rainfall depth by unusual weather phenomena and the difference of estimation method for parameters of unit hydrograph.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다목적 댐을 대상으로 강우-유출 모형에 의한 과거의 홍수량 산정방식과 최근의 홍수량 산정방식을 유역 면적 규모별로 분류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홍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기본인자로 강우량, 강우의 시간분포, 유효우량 산정방법, 강우-유출 모형, 매개변수 추정 및 기저유량 등을 선정하여 각 인자별 민감도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홍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최근의 방법으로 산정한 홍수량과 과거의 방법으로 산정한 홍수량이 유역면적 규모에 따라 다양한 변동폭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였는데, 강우의 시간분포 변경이 홍수량을 감소시키는 원인으로 분석되었고, 최근 기상이변에 의한 강우량의 증가와 단위도의 매개변수 추정방법의 변경이 홍수량을 증가시키는 가장 큰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한국수자원공사(1996). 부안다목적댐 공사지.
  2. 건설교통부/한국수자원공사(2000). 보령댐계통 광역상수도사업 공사지 -댐편-.
  3. 건설교통부/한국수자원공사(2002a). 밀양다목적댐공사지.
  4. 건설교통부/한국수자원공사(2002b). 용담다목적댐공사지.
  5. 건설교통부/한국수자원공사(2002c). 횡성다목적댐공사지.
  6. 건설교통부/한국수자원공사(2004a). 소양강댐 보조여수로 건설공사 실시설계 보고서.
  7. 건설교통부/한국수자원공사(2004b). 댐의 수문학적 안정성 검토 및 치수능력 증대 기본계획수립 보고서.
  8. 건설교통부/한국수자원공사(2006). 임하댐 비상여수로 건설 공사 실시설계 보고서.
  9. 건설교통부/한국수자원공사(2008a). 대청댐 비상여수로 건설공사 실시설계 보고서.
  10. 건설교통부/한국수자원공사(2008b). 안동댐 비상여수로 건설공사 실시설계 보고서.
  11. 건설부/산업기지개발공사(1966). 섬진강다목적댐 공사지.
  12. 건설부/산업기지개발공사(1970). 남강다목적댐 공사지.
  13. 건설부/산업기지개발공사(1974). 소양강다목적댐 공사지.
  14. 건설부/산업기지개발공사(1977). 안동다목적댐 공사지.
  15. 건설부/산업기지개발공사(1981). 대청다목적댐 공사지.
  16. 건설부/산업기지개발공사(1986). 충주다목적댐 공사지.
  17. 건설부/한국수자원공사(1989). 합천다목적댐 공사지.
  18. 건설부/한국수자원공사(1991). 주암다목적댐 공사지.
  19. 건설부/한국수자원공사(1992). 임하다목적댐 공사지.
  20. 국토해양부/한국수자원공사(2008). PMP 및 PMF 산정절차 지침 수립 용역 보고서.
  21. 국토해양부/한국수자원공사(2009). 보령댐 치수능력증대사업 기본 및 실시설계 보고서.
  22. 국토해양부/한국수자원공사(2010a). 밀양댐 치수능력증대 사업 기본 및 실시설계 보고서.
  23. 국토해양부/한국수자원공사(2010b). 부안댐 치수능력증대 사업 기본 및 실시설계 보고서.
  24. 국토해양부/한국수자원공사(2010c). 주암댐 비상여수로건설공사 실시설계 보고서.
  25. 권지혜, 김남원, 허준행, 신은우(2004). "가능최대홍수량 산정 절차 변경에 따른 결과분석."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599-603.
  26. 김남원, 이정은(2004). "강우분포와 강우-유출 매개변수에 따른 가능최대홍수량의 변화."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287-291.
  27. 박세훈, 김경덕, 문영일(2004). "댐 유역별PMF 및 확률강우량 변화양상 고찰."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282-286.
  28. 이상진, 최형, 신희범, 박상길(2004). "수공구조물 설계를 위한 PMF 및 임계지속시간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9호, pp. 707-718. https://doi.org/10.3741/JKWRA.2004.37.9.707
  29. 한국개발연구원(KDI) (2007). 댐 설계기준의 적정성 검토 - PMP 및 PMF 산정을 중심으로 -.
  30. Institute of Hydrology (1975). Flood studies report. London,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Council.
  31. Institution of Engineers Australia (2001) Australian Rainfall and Runoff, Volume One, a guide to flood estimation, Pilgrim, D.H. (Editor-in-Chief), Institution of Engineers Australia, Barton, Australian Capital Territory.
  32. Rams S. Gupta. (2001). Hydrology and Hydraulic Systems- Second Edition
  33. U.S. Army Corps of Engineers (2000). Hydrologic Modeling System HEC-HMS Technical Reference Manu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