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Outlook of Discharge for Daecheong and Yongdam Dam Watershed Using A1B Climate Change Scenario Based RCM and SWAT Model

A1B기후변화시나리오 기반 RCM과 SWAT모형을 이용한 대청댐 및 용담댐 유역 유출량 전망

  • Received : 2011.05.25
  • Accepted : 2011.10.18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In this study, the future expected discharges are analyzed for Daecheong and Yongdam Dam Watershed in Geum River watershed using A1B scenario based RCM with 27 km spatial resolutions from Korea Meteorological Agency and SWAT model. The direct use of GCM and RCM data for water resources impact assessment is practically hard because the spatial and temporal scales are different. In this study, the problems of spatial and temporal scales were settled by the spatial and temporal downscaling from watershed scale to weather station scale and from monthly to daily of RCM grid data. To generate the detailed hydrologic scenarios of the watershed scale, the multi-site non-stationary downscaling method was used to examine the fluctuations of rainfall events according to the future climate change with considerations of non-stationary. The similarity between simulation and observation results of inflows and discharges at the Yongdam Dam and Daecheong Dam was respectively 90.1% and 84.3% which shows a good agreement with observed data using SWAT model from 2001 to 2006. The analysis period of climate change was selected for 80 years from 2011 to 2090 and the discharges are increased 6% in periods of 2011~2030. The seasonal patterns of discharges will be different from the present precipitation patterns because the simulated discharge of summer was decreased and the discharge of fall was increased.

본 연구에서는 금강유역 내 대청댐 및 용담댐유역을 대상으로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공간해상도 27 km 지역규모의 A1B시나리오 기반의 RCM모형과 SWAT모형을 이용하여 미래 유출량 전망을 분석하였다. 기본적으로 GCM 및 RCM은 시공간적 스케일의 상이성으로 인해 수자원 영향 평가를 위한 자료로서 직접적인 이용은 현실적으로 곤란하다는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RCM 격자자료를 유역단위에서 강우관측소지점 단위로 공간적 다운스케일링을 실시하였으며 RCM 월자료에 대해서 일단위 자료로 시간적 다운스케일링을 수행하여 기후모델로부터발생하는 시공간적 스케일의 문제점을 극복하였다. 또한 유역단위의 상세수문시나리오를 생산하기 위해서 다지점 비정상성 다운스케일링 기법을 활용하여 기존 일강수량 모의기법에서 간과되었던 비정상성을 고려하여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강수사상의 변동성을 다양한 방법으로 검토하였다. 2001~2006년 기간 동안 SWAT모형을 이용하여 용담댐 및 대청댐 지점의 유입량과 SWAT의 최종방류부의 유출량 분석값을 비교한 결과 모의치와 실측치가 각각 90.1%, 84.3%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나 적용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후변화 분석기간은 2011년부터 2090년까지 80년을 대상기간으로 선정하였으며, 분석결과 2011~2030년 사이 유출량이 6% 증가하는 것으로 전망되었고, 유출량의 계절적 변화는 여름철의 유출량이 감소하고, 가을과 겨울철의 유출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지금과는 강우의 패턴이 변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2007). 이상홍수 평가기술 개발 연구보고서. 인하대학교.
  2. 과학기술부(2007).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개발사업: 기후변화에 의한 수자원 영향평가 체계 구축: 21세기 프론티어 사업. 과학기술부.
  3. 권영아, 권원태, 부경은, 최영은(2007). "A1B시나리오자료 를 이용한 우리나라 아열대 기후구 전망." 대한지리학회 논문집, 대한지리학회, 제42권, 제3호, pp. 355-367.
  4. 권현한, 김병식, 김보경, 윤석영(2009a). "기후변화에 따른 극치강수량의 시공간적 특성 변화 분석." 2009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1152- 1155.
  5. 권현한, 김병식(2009b). "비정상성 Markov Chain Model 을 이용한 통계학적 Downscaling기법 개발."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2권, 제3호, pp. 213-225. https://doi.org/10.3741/JKWRA.2009.42.3.213
  6. 기후변화정보센터(2010). "www.climate.go.kr."
  7. 김병식, 김형수, 서병하, 김남원(2004). "기후변화가 용담댐 유역의 유출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2호, pp. 185-193. https://doi.org/10.3741/JKWRA.2004.37.3.185
  8. 김웅태, 유철상, 이동률, 이준열(2000). "기후변화에 따른 대청댐 유역의 유출 영향 분석." 2000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472-479.
  9. 김웅태, 이동률, 유철상(2004). "기후변화에 따른 대청댐 유역의 유출 영향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 수자원학회, 제37권, 제4호, pp. 305-314. https://doi.org/10.3741/JKWRA.2004.37.4.305
  10. 문희일(2010). SWAT모형을 이용한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유량 및 유사량 변화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경대학교.
  11. 배덕효, 정일원, 권원태(2007). "수자원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평가를 위한 고해상도 시나리오 생산."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0권, 제3호, pp. 191-204. https://doi.org/10.3741/JKWRA.2007.40.3.191
  12. 서용원, 이승현, 김영오, 이동률(2000). "대청댐 운영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평가." 2000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427-430.
  13. 안재현, 유철상, 윤용남(2001). "GCM결과를 이용한 지구 온난화에 따른 대청댐 유역의 수문환경 변화 분석." 한 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4권, 제4호, pp. 335-345.
  14. 예령, 정세웅, 오동근, 윤성완(2009). "기후변화에 따른 대청호 유역의 물순환 및 토양유실량 영향." 한국물환경학회 논문집, 한국물환경학회, 제25권, 제6호, pp. 821- 831.
  15. 윤용남, 이재수, 유철상, 안재현(1999). "지구온난화에 따른 한반도 수문환경의 변화 연구." 1999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165-168.
  16. 이재경, 김영오, 이경택(2009).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조합기법에 관한 연구." 2009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621-626.
  17. 이재경, 김영오(2010).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 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기후변화학회 논문집, 한국기후변화학회, 제1권, 제1호, pp. 59-73.
  18. 황준식, 정대일, 이재경, 김영오(2007). "기후변화 영향평가를 위한 월 물수지모형의 적용성 검토."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0권, 제2호, pp. 147-158. https://doi.org/10.3741/JKWRA.2007.40.2.147
  19. 황태하(2005). SWAT모형을 이용한 토양수분지수 산정과 가뭄감시.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20. Hann, C.T., Allen, D.M., and Street, J.O. (1976). "A Markov chain model of daily rainfall."Water Resour. Res., Vol. 12, No. 3, pp. 443-449. https://doi.org/10.1029/WR012i003p00443
  21. IPCC(2007).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Summary for Policymake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 K-water연구원(2010). 미래 물관리를 위한 기후변화 대응방안 도출연구(1차년도). 1차년도 보고서.
  23. Nord, J. (1975). "Some application of Markov chains." Proceedings Fourth Conference on Probability and Statistics in Atmospheric Science. Tallahas, pp. 125- 130.
  24. Olivera, F., Valenzuela, M., Srinivasan, R., Choi, J., Cho, H., Koka, S., and Agrawal, A. (2006). "ArcGIS-SWAT: A Geodata Model and GIS Interface for SWAT."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2, No. 2, pp. 295-309. https://doi.org/10.1111/j.1752-1688.2006.tb03839.x

Cited by

  1. Outlook Analysis of Future Discharge According to Land Cover Change Using CA-Markov Technique Based on GIS vol.16, pp.3, 2013, https://doi.org/10.11108/kagis.2013.16.3.025
  2. Evaluation of Hybrid Downscaling Method Combined Regional Climate Model with Step-Wise Scaling Method vol.46, pp.6, 2013, https://doi.org/10.3741/JKWRA.2013.46.6.585
  3. A Comparison Study of Runoff Projections for Yongdam Dam Watershed Using SWAT vol.48, pp.6, 2015, https://doi.org/10.3741/JKWRA.2015.48.6.439
  4. The Uncertainty of Extreme Rainfall in the Near Future and its Frequency Analysis over the Korean Peninsula using CMIP5 GCMs vol.48, pp.10, 2015, https://doi.org/10.3741/JKWRA.2015.48.10.817
  5. Large-Scale Slope Stability Analysis Using Climate Change Scenario (1): Methodologies vol.16, pp.3, 2013, https://doi.org/10.11108/kagis.2013.16.3.193
  6. Water Supply Change Outlook for Geum River Basin Considering RCP Climate Change Scenario vol.46, pp.5, 2013, https://doi.org/10.3741/JKWRA.2013.46.5.505
  7. Analysis of Rainfall-Runoff Characteristics on Bias Correction Method of Climate Change Scenarios vol.31, pp.3, 2015, https://doi.org/10.15681/KSWE.2015.31.3.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