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fficient Estimation of Local Area Unemployment Rate Based on Small Area Estimation

소지역 추정법을 이용한 효율적인 지역 실업률 추정

  • Kim, Soo-Taek (Department of Information & Statistic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김수택 (경상대학교 정보통계학과)
  • Received : 20111100
  • Accepted : 20111100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Small area estimation has received significant intention in recent years due to a growing demand for reliable local area statistics. Traditional area-specific direct estimates based solely on sample survey data in the areas of interest do not provide adequate small area precision; however, design-based indirect local area estimators borrow strength from sample observations of related areas to increase the effective sample size. Design-based indirect estimation methods such as synthetic and composite estimators are considered to adjust local area unemployment rate estimates in the Korean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This study suggests an efficient alternative to minimize the cost to construct the unemployment rate of a local area through simulation under the condition that we can maintain a certain level of CV for the estimates. We obtained the results that the composite estimators using a sample size greater than 10 are more stable and significant at the level of CV 25% in our design scheme.

지방자치제가 정착되면서 시군구와 같은 소지역 단위의 실업률에 대한 통계는 실업대책이나 고용지원 사업을 위한 예산 편성과 같은 지역 노동시장정책의 수립은 물론 정책 집행 후 그에 대한 사후평가를 하는데 있어서도 중요한 기준을 제공해주기 때문에 지자체 기관장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경제적, 시간적으로 많은 제약이 따르는 기초자치단체에서 지속적으로 실업률 통계를 생산하는 데에는 자료의 신뢰성, 연속성및 시의성 면에서 많은 문제를 노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지역 실업률 추정치에 대한 신뢰성(변동계수 25% 이하)을 확보하면서 통계생산에 소요되는 조사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율적인 추정법 및 최소 표본조사구 수를 모의실험을 통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달호, 김남희 (2002). 반복조사에서 소지역자료의 베이지안 분석, 응용통계연구, 15, 119-128. https://doi.org/10.5351/KJAS.2002.15.1.119
  2. 김영원, 성나영 (2000). 소지역 통계 생산을 위한 추정방법,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11, 111-126.
  3. 김재두, 신기일, 이상은 (2005). 공간 시계열 모형을 이용한 소지역 추정, 응용통계연구, 18, 627-637. https://doi.org/10.5351/KJAS.2005.18.3.627
  4. 박종태 (1998). 소지역추정, 평택대학교 논문집, 11.
  5. 박종태 (2001). 국내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대한 소지역 추정의 경험적 비교, 평택대학교 자연과학연구 창간호, 69-79.
  6. 박종태, 이상은 (2001). 소지역 추정법에 관한 비교연구,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12, 47-55.
  7. 양영춘, 이상은, 신민웅 (2003). Kalman Filter기법을 이용한 실업자 수의 소지역 추정, 응용통계연구, 16, 239-246. https://doi.org/10.5351/KJAS.2003.16.2.239
  8. 이계오 (2000). 시.군.구 실업자 추정을 위한 소지역 추정법, 응용통계연구, 13, 276-86.
  9. 이계오 (2002). 소지역 추정법에 의한 시.군.구 실업통계 개발, 통계청.
  10. 정연수, 이계오, 이우일 (2003). 시.군.구 실업자 총계 추정을 위한 설계기반 간접추정법, 응용통계연구, 16, 1-14. https://doi.org/10.5351/KJAS.2003.16.1.001
  11. 전경배 (2001). 공식통계의 소지역 적용사례, 계간국민계정, 1, 22-37, 한국은행.
  12. Fabrizi, E., Ferrante, M. R. and Pacei, S. (2007). Small area estimation of average household income based on unit level models for panel data, Survey Methodology, 33, 187-198.
  13. Falorsi, P. D., Falorsi, S. and Russo, A. (1994). Empirical comparison of small area estimation methods for the Italian Labour Force Survey, Survey Methodology, 20, 171-176.
  14. Farrell, P. J. (2000). Bayesian Inference for small area proportions, Sankhya: The Indian Journal of Statistics, Series B, 62, 402-416.
  15. Ghosh, M. and Rao, J. N. K. (1994). Small area estimation: An appraisal, Statistical Science, 9, 55-93. https://doi.org/10.1214/ss/1177010647
  16. Rao, J. N. K. (2003). Small Area Estimation, Wiley, New York.
  17. Ugarte, L., Militino, A. F., Prado, C., Vincente, J. S. and Ayestaran, M. (2007). Small area estimation in official statistics: The labour force survey of the basque country, Proceedings of the Section on the Small Area Estimation, IASS Satellite Con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