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job satisfaction and its association with sociodemographic and health related characteristics, job-related factors, perception on socioeconomic status, professional job perception, job stress and social support among nursing officers. The survey was administered to 542 nursing officers working at military hospitals of the ROK Armed Forces, from Oct. 1 to Nov. 30. The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delivered and they were collected without respondents' personal information. As a results, The job satisfaction of respondents turned out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ollowing groups: an elder, married, subjective sleep quality is good, feels they are healthy, higher positional status, a longer job career, satisfied with their work, without consider quitting the job, their physical burden of work is adequate.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respondents' job satisfaction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rofessional job perception and social support. while it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job stress. When analyzed by Covariance Structure, it turned out that the professional job perception is more influential on job satisfaction than job stress and social support. The study found the professional job perception, high social support, and low job stress tend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Meanwhile, the study also found that the professional job perception and high social support reduces job stress.
본 연구는 간호장교의 인구사회학적 및 직업관련 특성에 따른 직업전문성 인식도,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직무만족도 수준을 알아보고, 직업전문성 인식도와 직무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가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전국 16개 군병원에 근무하는 육군 간호장교 542명으로 하였으며, 조사는 2010년 10월 1일부터 2010년 11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한 설문조사에 의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직무만족도는 연령이 높을수록, 기혼군, 주관적인 수면의 질이 좋다는 군,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직위가 높을수록, 근무경력이 길수록, 업무의 신체적 부담정도가 적당하다는 군, 업무에 만족한다는 군, 직업에 대한 적성이 맞는다는 군, 직업전환의사가 없다는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조사대상자의 직무만족도는 직업전문성 인식도, 사회적 지지와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직무스트레스와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공분산 구조분석 결과, 직업전문성 인식도는 직무스트레스나 사회적 지지 보다 직무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쳤으며, 직업전문성 인식도와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직무만족도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직업전문성 인식도와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