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교통안전을 고려한 곡선부 시선유도시설물 제시에 관한 연구

Suggestion of Delineators Considering Traffic Safety at Curve Sections

  • 권성대 (전남대학교 토목공학과) ;
  • 이석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연구부) ;
  • 정준화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연구부) ;
  • 하태준 (전남대학교 토목공학과)
  • 투고 : 2011.03.18
  • 심사 : 2011.04.03
  • 발행 : 2011.06.30

초록

도로의 곡선부는 운전자의 시각변화가 현격하게 발생하여 속도편차가 크게 나타나며, 다양한 원인에 의해 직선부 보다 위험도가 더 큰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야간 또는 기상악화로 인한 시선유도시설의 시인성 마비는 도로선형에 대한 정보를 왜곡시켜 운전자의 안전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주행속도에 영향을 미쳐 사고위험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이에 운전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선유도시설물의 설치 및 관리가 절실히 요구된다. 본 연구는 곡선부에 기 설치 운영 중인 재귀반사식 시선유도시설과 도로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된 내부조명식 시선유도시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주행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재귀반사식 보다 내부조명식 시선유도시설에서 시인성, 속도감속 필요성, 안전성에 대한 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내부조명식 시선유도시설이 설치된 곡선부를 진입할 경우 주행차량의 완만한 속도감속으로 인해 주행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내부조명식 곡선부 시선유도시설은 기존 재귀반사식 시선유도시설에 비해 운전자에게 도로선형에 대한 정보를 더욱 효과적으로 제공함으로써, 곡선부 교통사고 위험도를 줄일 수 있으며, 도로 곡선부 구간의 교통안전 개선대안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On a curve radius, there is speed deviation because a driver who is on the curve radius can have visual distortion. The curve radius can be more dangerous than a straight radius by many reasons. Especially, visibility paralysis of delineator that is because of night and bad weather. Can pervert the information about curve sections, it threatens safety. More over accident risk is increased by influence to travel speed. Therefore, it needs to build and control delineators for driver's visibility. Therefore, this study focus on finding the two types of delineator(the retro-reflection and inside-lighting delineator) by insight-surveying and the operating speed are compared by survey and operating speed. Finally, inside-lighting delineator will be selected in terms of safety at the curve sections. The inside-lighting delineator was more effective than the retro-reflection delineator on visibility, the necessity of reduction of speed and will reduce the hazard at curve sections. Also, the study analyzes safety is guaranteed by the slight reduction of speed when the driver enters a curve radius with inside-lighting delineator. As a result, the inside-lighting delineator can give the information about horizontal and vertical profile effectively, so it can reduce the accident risk. And it can use to improve traffic safety on curve radius.

키워드

참고문헌

  1. 건설교통부(2008) 도로설계편람.
  2. 건설교통부(2008) 도로의 구조.시설기준에 관한 규칙 해설 및 지침.
  3. 금기정, 김홍상, 김명수, 박영진(2002) 교통안전 증진을 위한 국도 곡선부에서의 운전자 시각행태 분석.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0권 제3호, pp. 7-16.
  4. 김용석, 조원범, 정소영(2005) 도로 설계일관성 평가를 위한 복합선형 구간 주행속도 조사.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대한토목학회, pp. 4713-4716.
  5. 박민철(2008) 곡선부 시각왜곡현상 분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6. 신재만(2009) 곡선부 시각왜곡현상을 고려한 인지곡선반경 산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7. 이은경(2001) 고속도로 IC 램프 유출구간에서의 운전자 시각행태 특성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8. 전우훈, 조혜진(2006) 시선유도시설의 성능에 따른 운전자 반응 형태 연구.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대한토목학회, pp. 3935-3938.
  9. 정봉조(2002) 운전자 작업부하를 고려한 최장허용직선길이 결정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0권 제2호, pp. 17-26.
  10. 정준화, 박영진, 박창호(2000) 속도에 따른 평면 곡선부 설치 방안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0권 제5D호, pp. 537-547.
  11. 최재성(1998) 도로선형에 대한 설계일관성 평가모형의 개발.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16권 제4호, pp. 195-212.
  12. 하태준, 정준화, 이정환 ,이석기(2009) 곡선부 시각왜곡현상 분석 및 설계기법 제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9권 제6D호, pp. 663-673.
  13. 하태준, 박제진, 김유철(2003) 가속도를 고려한 도로의 설계일관성 평가기법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1권 제1호, pp. 127-136.
  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7) 도로선형 및 노면 안전성분석 모형개발.
  15. Hassan, Y., S. M. Easa, and A.O. Abd El Halim (1998) Design Considerations for Combined Highway Alignments. Journal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Vol. 123, No. 1.
  16. I. Taiganidis and G. Kanellaidis (1999) Approximate Perspective Design of Roads, Journal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17. Lamm, R., B. Psarianos. and T. Mailaender. (1999) Highway Design and Traffic Safety Engineering Handbook, McGraw Hill.
  18. McLean, J. R. (1978) Speeds on Curves: Regreesion Analysis, International Report 200-3, Australian Road Research Board, Melbourne, Australia.
  19. Messer, C. J. (1979) Highway geometric design consistency related to driver expectancy (Vol II),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RD-79-35.
  20. Messer, C. J. (1981) Methodology for Evaluation Geometric Design Consistency, TRR 757, TRB. pp. 7-14.
  21. Veit Appelt. (2000) Sichtbare Radien als ein Kriterium zur Beurteilung der Raumlichen Linienfuhrung von einbahnigen AuBerortsstraBen, Head of Roads Department, Germa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