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emporal Variation of Local Scour Depth in the Downstream of Weir with Shapes

보 형상 변화에 따른 하류부 세굴의 시간적 변화

  • 여창건 (홍익대학교 과학기술연구소) ;
  • 이승오 (홍익대학교 건설도시공학부) ;
  • 윤세의 (경기대학교 토목공학과) ;
  • 송재우 (홍익대학교 건설도시공학부)
  • Received : 2011.01.21
  • Accepted : 2011.05.13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s temporal variation of local scour depth in the downstream of weir with shapes. Prediction of maximum or equilibrium scour depth was the main focus of engineers and researchers in the downstream of weir. However, it is necessary to analyzes temporal variation of local scour depth in the downstream of weir to predict real time scour depth. Experiment were performed with various weir shapes like sharp crest and inclined stepped with time variation and non-dimensional scourhole shapes, scour depths were proposed. A formula for predicting scour depths with temporal variation for weir were proposed through non-linear regression analysis. Temporal variation of scour depths could be estimated with suggested formula and 4 input data (Equilibrium scour depth, weir height, overflow depths, and water depth downstream). Suggested formula could make it possible to design a apron and bed protection economically in the downstream of a weir by considering flood duration time.

본 연구는 수리 실험을 통하여 보 형상 변화에 따른 보 하류부 세굴의 시간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보 하류부 세굴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최대세굴심의 예측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나 현장에서 발생 가능한 실제 세굴심의 예측을 위해서는 시간 변화에 따른 세굴심의 변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예연보, 경사형보와 같은 보 형상 변화에 따른 하류부 세굴의 시간적 변화를 수리실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보 형상별 시간 변화에 따른 세굴심 예측식은 유사의 연속방정식을 기본으로 실험을 통하여 측정된 시간변화에 따른 보 하류부 세굴공의 체적 변화량과 보 하류부 세굴심 변화량 자료들의 회귀분석을 통하여 평형세굴시간, 평형세굴심, 월류고, 보 높이를 이용한 세굴심 예측공식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식은 기존의 보 하류부 평형 세굴심 예측식들이 반영하지 못한 설계홍수지속기간을 반영할 수 있어서 보 하류부 세굴보호공의 설계 시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설계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손광익, 윤세의(1997) 에 의한 세굴깊이의 실험적 예측에 대한 고찰,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0권 제6호 pp. 743-751.
  2. 여홍구, 강준구, 정상화, 윤병모(2005) 보 하류부 임계수심 설정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3. 윤세의(1995) 자유낙하수맥 하류부에서의 세굴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22권, 제4-B호, pp. 437-446.
  4. 윤성범(1999) 교각세굴 설계공식의 현장 적용-세굴의 시간변화 예측-,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19권 제II-3호, pp. 265-273.
  5. 이승오, 이진우, 조용식(2007) 시간에 따른 교각 주위에서의 세굴심의 변화,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7권 제1B호, pp. 29-35.
  6. 한국수자원학회(2009) 하천설계기준.설계.
  7. Arun, Goel (2008) Estimation of scour downstream of spillways using SVM modeling, Proceedings of the World Congress on Engineering and Computer Science 2008, WCECS 2008, October 22 - 24, San Francisco, USA.
  8. Bijan, Dargahi (2003) Scour development downstream of a spillway, Journal of Hydraulic Research, Vol. 41, No. 4, pp. 417- 426. https://doi.org/10.1080/00221680309499986
  9. Breusers, H.N.C. (1967) Time scale of two-dimensional local scour. Proc. 12th IAHR Congress, Ft. Collins, Vol. 3, pp. 275-282.
  10. D'Agostino (2003) Scour on alluvial bed downstream of grade-control structures, Journal of Hydraulic Research, Vol. 46, No. 5, pp. 648-658.
  11. Farhoudi, J. and Smith, K.V.H. (1985) Local scour profiles downstream of hydraulic jump, Journal of Hydraulic Research, Vol. 23, No. 4, pp. 343-358. https://doi.org/10.1080/00221688509499344
  12. Henderson, F.M. (1966) Open channel flow, Macmillan, New York, NY., pp. 405-416.
  13. Hoffmans, G.J.C.M. and Verheij, H.J. (1997) Scour Manual, Balkema, Taylor & Francis Group.
  14. Chen, J.-Y., Yao, C.-Y., Liao, Y.-Y., and Huang, H.-S. (2008) Impact force on downstream bed of weir by free overfall flow, Journal of the Chinese Institute of Engineers, Vol. 31, No. 6, pp. 1047- 1055. https://doi.org/10.1080/02533839.2008.9671457
  15. Johnston, A.J. (1990) Scourhole developments in shallow tailwater. Journal of Hydraulic Research, IAHR, Vol. 28, No. 3, pp. 341- 353. https://doi.org/10.1080/00221689009499074
  16. Lenzi, Mario A., Marion, A., Comiti, F., and Gaudio, R. (2003) Local scouring in low and high gradient streams at bed sills, Journal of Hydraulic Research, IAHR, Vol. 40, No. 6, pp. 731- 739.
  17. Melville, B.W. and Chiew, Y.M. (1999) Time scale for local scour at bridge piers.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ASCE, Vol. 125, No. 1, pp. 59-65. https://doi.org/10.1061/(ASCE)0733-9429(1999)125: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