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DM Possibility Assessment of Transport Sector

교통부문 청정개발체제(CDM) 사업화 가능성 평가

  • Received : 2010.05.11
  • Accepted : 2010.07.05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Transport sector takes charge of about 20 percent of energy consumption and GHG(Green House Gas) emission in Korea. One of the efficient strategy of reducing GHG is introducing CDM(Clean Development Mechanism), which is one of GHG reduction systems in Kyoto Protocol. Nowadays many tries have done to regist transport policies as CDM in transport sector, however, a lot of things should be investigated to regist CDM in advance. The aim of this paper is assessment of CDM possibility in transport sector. First of all, we review steps and criteria to CDM registration, and select 4 CDM possibility assessment index in transport sector: as follows additionality, methodology, emission calculation, and monitoring. Also, we analyze registed projects and methodologies in transport sector. To assess CDM possibility in transport secto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sessments are carried out in this study. 18 transport policies are categorized as 4 groups and possibility of 18 transport policies are examined. Several policies can reduce GHG, however, they are not fit to regist as a CDM. On the contrary many transport policies have possibility to regist. In addition, we have done questionnaire survey, 'fuel change' policies have high possibility to CDM. However transport policies related to haman activity, like as TOD, have lower possibility. As a result, we can find that enough CDM possibility assessment should be carried out before CDM registration in transport sector.

본 연구에서는 전체 에너지소비 및 온실가스 배출량의 20%에 달하는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교통부문의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 교통정책의 청정개발체제(CDM, Clean Development Mechanism)로서의 사업화 가능성에 대하여 정성적 및 정량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사업화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항목을 추가성 입증 가능성, 승인 방법론 존재 여부, 배출량 산정 가능성, 모니터링 가능성 등의 4가지로 선정하였다. 또한 교통부문 CDM사업 현황을 살펴보고 CDM사업화를 위해 필수적인 방법론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온실가스를 저감할 수 있는 총 18개의 교통정책별로 CDM사업화 가능성을 평가한 결과, 몇몇 정책의 경우 추가성 증명, 방법론 개발, 그리고 불특정 다수에 의해 온실가스가 배출되는 교통의 특성 등으로 인해 CDM사업화에 장애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추가적으로 교통 및 CDM분야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한 결과 앞의 결과와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는데, 교통활동과 관련된 정책은 상대적으로 낮은 가능성(2.45)을 보인 반면, 온실가스가 적게 배출되는 연료로 변경하는 정책은 가능성이 높게(4.01) 나타났다. 이와 같이 교통부문의 CDM사업화를 위해서는 교통부문의 특성을 고려하는 사전평가가 충분히 수행되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통개발연구원(2005) 기후변화엽약 대비 교통부문 온실가스 저감 정책의 효과분석(1단계).
  2. 교통안전공단(2007) 온실가스 의무저감에 대한 유럽연합의 현황과 우리의 당면과제 연구.
  3. 산업자원부(2005) 기후변화협약과 우리의 대응.
  4. 에너지경제연구원(2007) 기후변화협약에 의거한 제3차 대한민국 국가보고서.
  5. 에너지관리공단(2007) 기업을 위한 청정개발체제 사업 지침서의 구성.
  6. 에너지관리공단(2008) 온실가스 배출 감축 사업 등록 및 관리 제도 안내.
  7. 한국교통연구원(2006) 기후변화엽약 대비 교통부문 온실가스 저감 정책의 효과분석(2단계).
  8. Global Environment Centre Foundation, Japan (2008) CDM Manual for Project Developers and Policy Makers.
  9. The German Emissions Trading Authority (2007) GERMAN CDM MANUAL - Guidandce for Applicants.
  10. Grutter (2006) "PDD - BRT Bogota, Colombia: TransMilenio Phase II to IV".
  11. GTZ (2007) The CDM in the Transport Sector.
  12. UNFCCC (2006) Approved baseline methodology AM0031: Baseline methodology for bus rapid transit pro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