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edestrian Environment for Greenways Construction

그린웨이 구축을 위한 보행환경 개선방안

  • Received : 2010.12.09
  • Accepted : 2010.12.13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This study is to mention necessity of building Green-way by foreign theoretical backgrounds and analyzing cases of internal and external, and is purposed on assessment of projects in operation internal by above necessity. For these assessments, looking into cases of green-way plan of external and defining issues by comparing with internal cases to suggest solutions. Green-way planning methods can be classified in physical and non-physical aspects. From among these, for case of non-physical method, its environments of each nation, region, local are all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can not be turned into a numerical value and quantification, as well. Therefore, analyzing and suggesting the directions on the basis of physical method. Understanding the improvements degree of physical environment of before and after implementation of projects by using successful cases of external similar to actual state of internal. By these process, inflecting to suggest a seek way of applied to internal projects. Local aspects, doesn't have the specific analyzed data of improvement of pedestrian environment and building green-way and are shortage of implementation of projects also. For that reason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status and plans of building green-way in Seoul and analyzing the 7 completed region cases. And suggesting issues of projects and the direction of national and local green-way projects.

본 연구는 그린웨이 구축의 필요성을 외국의 이론적 배경과 국내외의 사례분석을 통해서 언급하고,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현재 국내에서 시행하고 있는 사업의 평가를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평가를 위해 해외의 그린웨이 계획 사례를 살펴본 후 우리나라의 사례와 비교, 분석하여 문제점을 밝히고, 이에 따른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그린웨이계획의 방법으로는 물리적인 측면과 비 물리적인 측면으로 나누어서 살펴 볼 수 있으며, 이 중 비 물리적인 측면의 경우 각 국가, 지역 및 지자체마다 환경이 틀리며, 수치화 및 정량화를 시키기기가 불가능함으로 인해 물리적인 항목을 토대로 분석 및 방향 제시를 하였다. 해외 성공사례의 경우는 우리나라의 실정과 유사한 사례를 본 연구에서 제시한 분석을 틀을 이용하여 사업시행 전 후의 물리적 환경의 개선 정도를 파악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국내의 사업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활용하였다. 국내의 사례 중에서 각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보행환경 개선 및 그린웨이구축에 대한 사례를 명확하게 조사한 자료가 없고, 시행 사업 또한 극미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서울의 그린웨이 구축 현황 및 계획을 살피고, 이중 현재 진행 완료 된 7개 구의 사례을 분석하였다. 또한 사업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고 앞으로 지자체 및 국가에서 시행하는 그린웨이 구축 사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호, 문국현(2006) 도시의 생명력 그린웨이, 랜덤하우스 중앙녹색교통에서 제시한 보행환경 지표.
  2. 박상수(2005) 보행자 중심의 보행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3. 박현찬(2006) 걷고싶은거리 만들기 시범가로 시행평가 및 향후 추진방향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4. 박현찬(2006) 서울특별시 주요업무계획, 서울시정개발연구원.
  5. 서울특별시 환경국(2005) 환경백서 제2부 제4장
  6. 서울특별시(1999) 보행권 확보와 보해환경 개선에 관한 기본조례.
  7. 양석우(2007) 도시 내 친보행공간의 통합적 계획을 위한 유형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8. 유영성(2007) 경기도 그린웨이 네트워크의 활성화 방안.
  9. 윤효현(1992) 보행자공간의 개념과 구성요소, 환경과 조경.
  10. 이시카와 미키코(2004), 도시와 녹지, 현진기획.
  11. 이우진(2006) 도시그린웨이 계획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2. 이춘희(2007) 도시와 삶을 풍요롭게 하는 공원녹지.
  13. 정호진(2003) 도심부 보행환경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4. C. Scott Shafer (2000) A greenway Classification System-Defining The Function and character of greenway inurban areas.
  15. Schwarz (1993) Greenways : A Guide to Pl;anning, and Development.
  16. The European Greenways Association (2000) Good Practice Guide.
  17. Tom Turner (1998) City as Landscape, E&FN SPON.
  18. http://unabridged.merriam-webster.com - 'a corridor of undeveloped land preserved for recreational use or environmental protection'
  19. http://www.seoul.go.kr
  20. http://www.sgt.or.kr
  21. http://www.nyc.gov
  22. http://www.city.vancouver.bc.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