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xploratory Analysis of Locational Characteristics Impact on the Discrepancy between Predicted vs. Actual Demand of Rail Transit

전철역 입지특성이 예측된 수요와 실제 수요 간의 차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Received : 2010.02.22
  • Accepted : 2010.06.21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We built subway stops in order to meet demand. To do so, a standardized method is used to predict the demand. However, in some subway stops there are only few people moving around sparsely, but in some other stops there are too many people crammed in a crowd. The gap between forecasting and actual uses varies from 10% to more than 1,000%. This study is aimed to find out where this discrepancy between predicted vs. actual demand for urban rail transit comes from. Specifically, 40 subway stops in Seoul Metropolitan Area, which were opened last 10 years, are examined. This study suggests that, for better forecasting, we need to consider stops' location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weekday commute-oriented exogenous factors. Locational characteristics includes; whether a stops is a terminal and/or weekend tourism node. There seems no "one size fits all" solution for transit demand forecasting; locational characteristics need to be reflected.

대도시권과 주변도시간 교통 혼잡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광역전철의 공급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전철역의 이용객수가 수요예측에 미달되는 역이 있는 반면 몇몇 역에서는 너무 많은 이용객으로 인해 대합실에서의 혼잡이 야기된다. 수요예측과 실제 이용객수와의 차이는 10%에서 1,000% 이상까지 다양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철역에 따라 실제 이용객수와 수요 예측간 차이가 나는 원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지난 10년 동안 수도권에 개통된 광역전철역 40개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더 정확한 예측을 위해서, 주중 출퇴근 중심의 외생적요인 뿐만 아니라, 종착역여부나 관광특성 등 입지특성을 고려할 것을 제안한다. 입지특성 요소가 누락된 수요예측 방법이 현재 모든 역에 일률적으로 적용되고 있는데, 향후 수요예측에서는 입지특성을 고려한 방법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진균 외 10인(2005) 철도건축물설계, 한국철도공사.
  2. 김홍원(2007) 기성시가지 지하철 역사 입지에 따른 토지이용 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인천도시철도1호선을 대상으로,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3. 박동진, 김재준, 이승일(2007) 서울시 대중교통중심의 개발을 위한 역세권 개발밀도와 이용자수의 관계분석에 관한 연구, 2007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pp. 299-306.
  4. 성현곤, 김태현(2005) 서울시 역세권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요일별 시간대별 지하철 이용인구를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3권 제8호, pp. 19-29.
  5. 성현곤, 노정현, 김태현, 박지형(2006) 고밀도시에서의 토지이용이 통행패턴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역세권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41권 제4호, pp. 59-75.
  6. 이계원(2003) 서울시 지하철 역세권 토지의 용도 변화특성에 관한 연구: 1996-2001,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7. 이승일, 장세진(2009) 지하철 통근통행시간이 역세권의 공간범위에 미치는 영향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8권 제1D호, pp. 119-127.
  8. 이재영, 송태수(2004) 수도권신도시 역세권과 지하철 이용행태 변화분석,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9권 제4호, pp. 93-103.
  9. 임주호(2006) 도시철도 이용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역세권 토지이용특성: 서울시 사례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0. 최한규(2004) 도시철도 수송수요 예측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11. 코레일 광역철도사업본부(2008) 2008년도 광역전철 수송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