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n the Urban Management Pollcy by the Types of Subway Station Areas: the Case of Seoul, Korea

역세권 유형별 특성에 의한 서울시 도시개발관리 방향 연구 : 서울시 지하철 역세권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1.09.05
  • Accepted : 2011.10.18
  • Published : 2011.10.30

Abstract

This research thesis measured potential housing development of 250 'subway station areas' around Seoul Metropolitain Region, with the use of added weighting and data of each indicator based on AHP.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ranking of the development of 'subway station areas' on the basis of measurement results of potential housing development along with the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subway station areas' in daily life zone. Cluster analysis-oriented analytic measurement results suggested that 'subway station areas' in Seoul Metropolitain Region can be grouped into five clusters: Cluster 1 and Cluster 2 were populated with 'reservation areas' for outside and inside urban development, respectively scoring low all in housing development pressure and capacity. Cluster 3 was populated with 'development maintenance areas', scoring low in housing development pressure but high all in housing development capacity. Cluster 4 was populated with 'development facilitation areas', scored high all in housing development pressure and capacity. Cluster 5 was populated with 'development control areas' scoring high in housing development pressure but low in housing development capacity.

역세권 주택공급시 현재 시행되고 있는 뉴타운 사업과 같이 동시다발적으로 구역지정되어 발생되는 도시문제를 최소화하고자, 서울시 도시내부에 분포하는 250개 역세권을 유형화하여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고, 유형별로 개발시기를 비롯한 도시개발관리 기준을 수립하여 차별적 도시관리 방안을 제안하였다. 역세권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객관적 지표로서 선행연구(AHP분석)에서 제시된 주택개발잠재력 지표를 활용하여 서울시 250개 역세권에 대하여 주택개발잠재력을 평가하였으며, 도출된 주택개발잠재력 평가결과를 이용하여 역세권을 5개의 그룹으로 유형화하고,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유형화 결과, 서울시 역세권은 주택개발압력과 주택개발수용력이 모두 저(低)로 나타나는 군집1과, 주택개발압력 중저(中低) 주태개발수용력 중저(中低)인 군집2, 주택개발압력 중(中) 주택개발수용력 고(高)인 군집3, 주택개발압력 고(高) 주택개발수용력 중고(中高)인 군집4, 주택개발압력 중고(中高) 주택개발수용력 저(低)인 군집5로 분류되었다. 이를 다시 역세권 특성별로 군집1은 외곽개발유보지역, 군집2는 내부개발유보지역, 군집3은 개발관리지역, 군집4는 개발촉진지역, 군집5는 개발억제지역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별 지역에 대하여 개발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변창흠, 이희정(2002), 서울시 주택수요 및 공급능력 추정에 관한 기초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 김영환 외(2003), "성장관리형 도심재생의 기본전략 및 계획요소", 국토계획, 38(3).
  3. 김옥연 외(2009), 도심주택공급확대를 위한 역세권 개발잠재력 분석, 주택도시연구원.
  4. 김현진, 구자훈(2009), "역세권 고밀복합개발을 위한 관련제도 비교 분석", 한국도시설계학회 2009년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
  5. 남진(2006), "서울시 성장관리를 위한 도심주거 확보의 비용효과 분석 연구", 국토계획, 41(7).
  6. 성현곤, 권영종(2006), "고용입지변화에 따른 주거입지 및 통근 통행의 변화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1(4).
  7. 양재섭(2003), 서울 도심부의 주거지 특성과 거주인구변화, 서울시립대 박사논문.
  8. 이영은(2005), 도시성장잠재력과 토지개발잠재력의 비교분석을 통한 도시개발 관리방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9. 이창무 외(2007), "역세권개발과 수도권 공간구조 재편", 국토계획, 42(6).
  10. 임영택 외(2008), "도시성장관리 측면에서 지하철 역세권의 압축적 도시정비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8추계학술대회.
  11. 임희지(2005), "고밀다핵도시 서울의 대중교통이용 활성화를 위한 역중심 개발 유도방안", 대한교통학회지, 25(5).
  12. 최막중, 김상균(2001), "고용 및 녹지 접근성을 동시에 고려한 잠재력 모형의 주거입지 수요 추정", 국토계획, 37(2).
  13. Chapin, F.S. and Kaiser. E. (1979), Urban Land Use Planning (3rd Edition), Chicago: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4. Glaeser, E., and M. Kahn (2001), "Decentralized Employment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American City, Brooking-Wharton Papers on Urban Affairs", Washington DC., Brookings Instit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