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Study on the Business and Financial Structure of Public Housing Agencies in Asia: Korea, Japan, Singapore and Hong Kong

아시아 공공주택기관의 사업특성 및 재무현황 비교 연구 : 한국, 일본, 싱가포르, 홍콩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1.09.08
  • Accepted : 2011.10.18
  • Published : 2011.10.30

Abstract

Recently, one of the critical issues in Korea is the huge debt and future role of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In this rega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t implications from other public housing agencies in Asian countries such as UR of Japan, HDB of Singapore and HA of Hongkong. The changes of housing policy since 1960s, business and financial structure of housing agencies in each nation are investigated and compared. As a result, some policy directions can be proposed as follows : review of current mass housing program, relaxing qualifications for public rental housing, promotion of urban renewal projects, reinforcing cooperation with private sector and local governments, more government's support to LH's financing and loss from businesses for public interests and re-evaluation of LH's debt.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hat suggestions to improve housing policy and to alleviate financial problem of LH are based on the actual conditions of public housing agencies in Asian countries where the housing policy implementation system is similar to Korea, not on the theoretical basis.

본 논문은 최근 정책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부채문제 및 미래 역할과 관련하여 일본 도시재생기구(UR), 싱가포르 주택개발위원회(HDB), 홍콩 주택청(HA)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가별 주택정책의 전개과정과 각 기관의 사업내용 및 재무적 상황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비교하였다. 그 결과 주택대량공급 정책의 재검토, 임대주택 수혜계층 범위 확대, 도시재생 활성화, 민간과 지자체와의 협력강화, 정책사업 수행을 위한 LH 자금조달과 사업 손실에 대한 정부지원 강화, 공공주택기관 부채에 대한 재인식 등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론적 관점이 아니라 주택 및 도시문제 해결을 위해 우리나라와 유사한 정책집행체계를 운영하고 있는 아시아 국가의 공공주택기관 실태를 통해 정책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 통계누리(http://stat.mltm.go.kr/).
  2. 권명희(1998), "고도 경제성장과 주택정책", 한국사회와 행정 연구 9(1): 127-136.
  3. 기획재정부(2011), 2010 회계연도 국가결산보고서.
  4. 김정호 외(1998), "주택정책의 회고와 전망", 개원20주년 기념 국토총서, 국토연구원.
  5. 남원석(2009), "전후 일본 주택정책의 성격 변화: 복지체제론의 관점에서", 주택연구 17(4): 153-181.
  6. 박미선(2001), "싱가포르 주택정책 및 주택공급 제도", 주택포럼 2: 100-117.
  7. 박신영, 권치흥편(2005), 국민임대주택백서, 주택도시연구원.
  8. 박신영, 김용태, 조승연(2011), "해외의 토지.주택.도시정책 전 개과정 및 수행기관의 역할분석", CEO Report, 토지주택연구원.
  9. 서옥순(2008), "싱가포르 공공주택정책", Housing Issue, 주택산업연구원.
  10. 이현정, 윤정득(2010), "홍콩의 주택정책 변천 및 주택계획 특성에 관한 고찰",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6(11): 227-235.
  11. 이종열(1996), "한국과 싱가포르의 공공주택정책 비교분석: 국가의 역할과 전략을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총 8(4): 877-899
  12. 조승연, 김용태, 이영환(2011), 선진 주택도시 전문기관 역할 비교 연구, 토지주택연구원.
  13. 진미윤, 이현정(2005), "싱가포르의 주택정책과 주택공급 체계", 국토연구 47: 215-237.
  14. UR 결산서(http://www.ur-net.go.jp/ir/financial.html).
  15. HDB Annual Report 및 재무제표(http://www.hdb.gov.sg).
  16. HA Annual Report 및 재무제표(http://www.housingauthority.gov.hk/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