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jori Tortoise Pedestal of Namsan Mountain in Gyeong-Ju

경주 남산 이조리귀부에 관한 고찰

  • Received : 2010.10.27
  • Accepted : 2010.12.09
  • Published : 2010.12.24

Abstract

The tortoise pedestal for the memorial monument of Choe Jin-rip(an army officer in the mid-Joseon Period) in Ijo-ri, Naenam-myeon, Gyeongju is known to have been made in 1740. As such, it was originally understood to be a Joseon imitation of a tortoise pedestal made in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style of the Ijori Tortoise Pedestal differs from other tortoise pedestals dating back to the same period, and bears no resemblance to the Unified Silla pedestals of which it is a copy. Mullu ilgi, a record of the production of the pedestal, explains that the monument was made before the pedestal. Traces show that the two sides of the bottom of the monument were cut off so that it would fit into the smaller space made on the pedestal. It is scarcely conceivable that they made the pedestal and the platform without considering the bottom size of the monument. The record only states that the monument was made at a temple site named Baegundae, without explaining the details of the production process. This leaves some doubt as to whether its production was undertaken systematically. The cloud patterns engraved on this pedestal look similar to the temporal seriation found on the Tortoise Pedestal of the Royal Tomb of King Muyeol and the Seoangni Tortoise Pedestal of Gyeongju. The lotus pattern decorating the square pedestal on the back of the tortoise is one of a number of patterns that were widely used on roof-tiles in the 8th century, the heyday of the Unified Silla Kingdom. The Ijori Tortoise Pedestal, which represents a tortoise moving forward, displays a liveliness the like of which is rarely found in its cousins remaining in Gyeongju. The layout of the patterns in a queue on the tortoise-shell looks much better schematized than those made at an earlier date. It also looks like a more developed form, with the use of space taken into account. Such factors as the style of the patterns, the incongruity between the monument and its pedestal, and what is stated in the historical record indicate that the Ijori Tortoise Pedestal of Gyeongju was made in the mid-8th century(i.e.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rather than in the Joseon Period(i.e. the 18th century), as an imitation of earlier ones, including changes in the style unique to the Silla Period.

경주 내남면 이조리에 소재하는 최진립신도비의 받침인 석제 귀부(龜趺)는 1740년경에 제작되었다는 기록이 있어 통일신라시대 귀부를 모사한 조선시대 작품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당시 제작되는 귀부 형식과는 다르고, 모사한 원 귀부의 형식은 어느 곳에서도 찾을 수 없는 모습들이 확인되고 있다. 첫째, 제작 과정을 기록한 '문루일기(門樓日記)'에는 비석을 먼저, 이후에 귀부를 제작했음이 밝혀져 있다. 그러나 비좌 삽입부가 작아 비석 양쪽 끝단을 잘라 삽입한 흔적이 보이며, 비석의 크기를 고려하지 않고 귀부와 비좌를 만들었다는 것은 공정상에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다. 또한 비석 제작 부분은 구체적으로 묘사되어 있으나, 백운대라는 사찰터에서 제작되었다고 할 뿐, 공정 내용이 언급되지 않은 점은 당시 실사를 하고 기록했는지 의심되는 부분이다. 둘째, 이조리귀부의 구름문양은 초기의 태종무열왕릉귀부와 서악리귀부 구름문에서 이행되는 시간상의 세리에이션(Seriation)을 잘 반영하고 있다. 비좌 주변을 장식한 연화문은 중앙에 형식화된 보상화가 표현된 것으로 통일신라시대 전성기인 8세기대 기와 등에 가장 잘 나타나던 문양이다. 셋째, 전진하는 모습의 이조리귀부는 지금까지 경주에 전해지는 귀부들에서도 찾기 힘든 생동감을 가지고 있으며, 일렬상의 귀갑문 배치는 이전 귀부의 문양 배치보다 훨씬 간결해지고 공간 활용을 고려한 발전된 형식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조리귀부는 시기적 변화를 보여주는 문양 형식, 비신과 비좌의 불일치, 기록상의 고찰을 통해 볼 때, 18세기 조선시대 석공이 신라문양의 형식변화 등을 모두 고려하여 제작한 모사품이라기보다는 8세기 중반 경에 제작된 통일신라시대 귀부였음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