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Origin of the Square-Shaped Jangmyeongdeung of Jeongneung Royal Tomb and Its Stylistic Development -In Comparison with the Buddhist Temple Stone Lanterns-

조선 정릉(貞陵) 사각 장명등(四角長明燈) 양식의 원류와 전개 -사찰 석등과의 비교를 통해 -

  • Received : 2010.09.30
  • Accepted : 2010.12.03
  • Published : 2010.12.24

Abstract

Jangmyeongdeung Lantern (貞陵長明燈) refers to the stone lantern placed in front of the royal tomb. It serves both symbolic and decorative purposes; symbolic because it is supposed to guard and illuminate the buried, and decorative because it is a work of sculpture that adorns the entire graveyard. The Jangmyeongdeung of Jeongneung was the earliest stone lantern to be produced during the Joseon period. Its square shape is unique among those from the early to mid-Joseon period. The three major parts of Jangmyeongdeung - the stand, the lantern, and the roof-shaped cover parts - are square in shape, differing from the octagonal shaped Jangmyeongdeung. The stand consists of three single stone blocks, the Hadaeseok(下臺石), Ganjuseok(竿柱石), and Sangdaeseok(上臺石). The Hwasaseok(火舍石), or the lantern part, is also a single stone block. Jangmyeongdeung of Jeongneung succeeds the style of those of Hyeon-neung and Jeongneung(玄正陵) of the Goryeo period and is of a better artistic quality. As the first Jangmyeongdeung lantern, it is a refined work of art that marks the foundation of the Joseon Kingdom. This paper tries to ascertain the stylistic origin of the square-shaped Jangmyeongdeung of Jeongneung and compare it with those of Buddhist temples. Consequently, similarities were found among the stone lanterns of Zen priests 'Jigong'(指空) and 'Nawong'(懶翁) in the Hweamsa Temple(檜巖寺) site from the late Goryeo period, those of Zen priest 'Muhak'(無學) of the Hweamsa Temple site, and those of national priest 'Bogak'(普覺) of Cheongnyongsa Temple(靑龍寺) from the early Joseon period. Primarily, this is because the three components(the stand, the lantern part, and the roof-shaped cover) are essentially square-shaped. Second, as the Ganjuseok(one of the components of the stand) became shorter, the stand took a more stable form. Third, the Hwasaseok(the lantern part) consists of two stone blocks joined together. Fourth, the roof-shaped cover is also in square in shape. Similarly, the Jangmyeongdeung of Jeongneung contains Buddhist elements as well. The three-bead pattern that decorates the Ganjuseok stand is an example. The three-bead pattern is one of the symbolic elements related to Tantric Buddhism. It is found on the diadems worn by Bodhisattvas from th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s. The Jangmyeongdeung of Jeongneung in early Joseon directly influenced the production of the square-shaped stone lanterns used to decorate the tombs during the Joseon period. After the latter half of the 15th century, however, the octagonal-shaped Jangmyeongdeung style began to prevail. The Jangmyeongdeung of Jeongneung reflects the succession of the tradition of royal tombs from Goryeo to Joseon, the introduction of square-shaped stone lanterns to Buddhist temples, and the influence of the Buddhist philosophy of the time. It is a living testimony to various elements of each time and corresponding cultural trends.

장명등은 능묘의 능침 앞 중앙에 놓여 사자(死者)를 지키고 밝혀주는 상징적인 기능과 함께 뛰어난 조형성으로 능역을 장식하는 역할도 담당했던 중요한 석물로서, 석등의 한 범주에 속한다. 정릉 장명등은 조선왕릉 장명등 중 최초로 조성된 장명등이며, 조선 전 중기 왕릉 장명등 가운데 유일한 사각 장명등(四角長明燈) 형태를 이루고 있다. 대석, 화사석, 옥개석 형식이 기본적으로 사각을 이루고 있어 팔각 장명등(八角長明燈)형식과는 완연하게 구분된다. 하대석, 간주석, 상대석을 1매의 통석으로 마련하고, 화사석은 1매의 통석으로 전후로 화창을 표현하였다. 정릉 장명등은 고려 현 정릉 장명등의 전통을 그대로 따랐으나, 이보다 뛰어난 조형성을 보이고 있어 조선 개국 이후 최초로 조성되었던 왕릉 장명등으로서의 격조를 무리없이 보여준다. 본고에서는 정릉 사각 장명등 양식의 원류를 파악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두고 고려 왕릉 장명등과 더불어 사각 장명등의 연원이 되는 사찰 사각 석등과의 비교 고찰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고려 말 회암사지 지공선사 석등 및 나옹화상 석등, 조선 초 회암사지 무학선사 석등 및 청룡사 보각국사 정혜원융탑석등과 다음의 공통점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대석, 화사석, 옥개석 등이 기본적으로 사각을 이루고 있는 점, 둘째, 간주석이 낮아지면서 대석부분이 안정적인 형태를 이루는 점, 셋째, 화사석의 경우 대석 위에 양측으로 석재를 세워 자연스럽게 전후로 화창을 구성하는 방법, 넷째, 옥개석이 사모지붕 형태를 하고 있는 점 등이다. 한편 정릉 장명등에는 불교적 요소가 다분히 내제되어 있는데, 간주석의 삼주문(三珠文)표현이 그것이다. 삼주문은 밀교와 관련된 상징물의 하나로서, 우리나라의 경우 고려 불화 및 조선 초기 보살상의 보관에 표현된 예가 확인된다. 정릉 장명등은 이후 묘 사각 장명등 조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데, 15세기 후반 이후부터는 점차로 정릉 장명등의 영향에서 벗어나 팔각 장명등 형식이 보다 많이 가미된 경향으로 변모해 나간다. 정릉 사각 장명등은 고려왕릉에서 조선왕릉으로의 능제 계승, 사찰 사각 석등 양식의 수용, 그 시대 불교사상의 반영 등 당대의 시대상과 문화의 흐름을 유추해 볼 수 있는 다양한 요소들이 담겨진 산 증거물로서 의의가 있다 하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