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포항 중성리신라비와 영일 냉수리신라비의 재질특성과 산지해석 및 훼손도 진단

Material Characteristics, Provenance Interpretation and Deterioration Diagnosis of Shilla Stone Monuments in Jungseongri and Naengsuri, Pohang

  • 이명성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한민수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김재환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김사덕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Lee, Myeong Seong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Han, Min Su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Kim, Jae Hwan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Kim, Sa Dug (Conservation Science Center,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투고 : 2010.06.28
  • 심사 : 2010.08.25
  • 발행 : 2010.09.30

초록

2009년 5월에 경북 포항시 북구 흥해읍 중성리 도로개설 공사현장에서 발견된 중성리신라비는 부정형 암석의 한 면에 200여 개의 글자가 음각되어 있으며, 지금까지 알려진 신라시대 비석 중 가장 오래된 영일냉수리신라비보다 먼저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중성리신라비의 구성암석은 흑운모가 다량 함유된 흑운모화강암이며 냉수리신라비는 장석과 각섬석이 반정을 가지고 있는 화강섬록반암으로 추정된다. 이 암석에서는 유색광물의 집합체인 포획암과 작고 불규칙한 공동이 관찰되며, 신광면 일대에 분포하는 흑운모화강암 및 기계면 일대에 분포하는 화강섬록반암과 유사한 암석으로 판단된다. 중성리신라비와 냉수리신라비에 나타나는 훼손현황은 변색에 의한 오염과 부분적으로 관찰되는 균열과 부재의 탈락이다. 이는 비의 안정성에는 특별한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보이나 중성리신라비의 전면에 걸쳐 발생된 흑색 및 갈색 변색은 미관을 해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중성리신라비에서 관찰되는 흑색변색은 상대적으로 Mn과 Fe이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갈색변색 부분은 Fe가 높게 측정되었다. 중성리신라비와 냉수리신라비의 초음파속도 분포 경향과 전체적인 풍화도를 비교 분석해보았을 때, 두 비 모두가 중간풍화단계(MW)에 해당되나 중성리신라비가 넓은 초음파 속도 분포를 보이며 평균적으로 다소 낮게 나타났다. 이는 최근 발견되기까지 아무런 보호시설 없이 매장 및 자연환경에 노출되어 있었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향후 보존처리와 더불어 적절한 보존환경을 마련하는 등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Shilla Stone Monument in Jungseongri was found during the road-construction in Pohang. It has approximately two hundreds of letters inscribed on the surface of one side, and it is estimated to be older than Shilla Stone Monument in Naengsuri which had been known for the oldest stele in Shilla Period. This monument is made of fine to medium-grained biotite granite, while the Shilla Stone Monument in Naengsuri is made of fine-grained granodioritic porphyry bearing feldspar and amphibole phenocrysts. Both rock types of the monuments are interpreted to be cognate with biotite granite in Shinkwangmyeon, and with granodioritic porphyry in Gigyemyeon. They are characterized by xenolith and miarolitic cavity. Damage aspects in both monuments are discoloring, cracking and breaking. These damages do not cause structural instability of the monuments, but attenuate aesthetic value. Black and brown discoloring contaminants on the surface of the Jungseongri Monument contain a high amount of manganese and iron. As a result of ultrasonic test, both monuments were evaluated to be medium-weathered (MW), although the velocity of the Shilla Monument in Jungseongri was slightly lower than the Shilla Monument in Naengsuri. This is because the Monument in Juengseongri had been exposed to outdoor environment for long time until the discovery. It is necessary for Shilla Monuments to be protected by appropriately environmental control and managemen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