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raditional Korean Medicine Management of Complications of Breast Surgery - A Case Report of Complications After Breast Surgery

유방수술 후 발생한 견관절 기능장애와 상지 저림에 대한 치험 2례

  • Kwon, Ji-Myung (Dept. of Oriental Obstetric &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gu Haany University) ;
  • Kim, Dong-Chul (Dept. of Oriental Obstetric &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gu Haany University)
  • 권지명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 교실) ;
  • 김동철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 교실)
  • Received : 2010.10.26
  • Accepted : 2010.11.09
  • Published : 2010.11.30

Abstract

Purpose: To review the effectiveness affecting to the shoulder functionalities and upper numbness by Traditional Korean Medical treatment who are given a surgical operation for breast resection by breast tumor Method: To report the patients with dysfunction of shoulder joint and numbness in upper limb after breast surgery who improved by Traditional Korean Medical treatment and to study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management of complications of breast surgery. Results: After about 2weeks treatment, patient's symptoms and signs were improved. TKM management was effective in recovery of shoulder function and upper limb numbness after breast surgery. Conclusion: We need to actively participate in management of complications of breast surgery as adjuvant therapy. And more study is needed for developing Traditional Korean Medical indication of complications of breast surgery.

Keywords

References

  1. Haagensen CD. Disease of the breast. 3rd ed. Philadelphia:WB Saunders. 1986: 501-76.
  2. 김세원, 김영숙, 김권천. 초음파 유도맘모톰을 이용한 유방 양성 병소의 절제술. 대한외과학회지. 2008;75(6): 375-80.
  3. 통계청. 사망원인별 사망자 수. 2009. Available from: URL:http://kosis.kr/abroad/abr oad_01List.jsp.
  4. 유대우, 이충한. 50년간 수술한 유방암 환자 2,677예의 임상적 고찰. 대한외과학회지. 2002;62(4):288-92.
  5. 전형근. 유방암의 위험요인에 관한 환자-대조군연구.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1991.
  6. 박영애, 김동철. 유방암의 보완대체의학적 치료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9;22(3):205-22.
  7. 반혜란 등. 皂角刺추출물이 인간 유래 유방암 세포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2009; 22(2):94-110.
  8. 정종수 등. 중의학 논문에 나타난 유방암의 연구 동향에 대한 고찰 - 중의학 논문을 중심으로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9;22(1):263-78.
  9. 최진영 등. 한방의료기관에 내원한 106명 유방암 환자 기초자료 분석.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8;21(4):228-36.
  10. 박영애, 김동철. 현호색 메탄올 추출물이 Bcl-2와 Bcl-XL 발현 억제를 통해 유방암 세포의 자멸사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8; 21(4):90-103.
  11. 윤우경, 김동철. 천련자 메탄올 추출물이 Bcl-2 발현 억제를 통해 유방암 세포의 자멸사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8;21(3):18-33.
  12. 양승정 등. 楡根皮추출물의 유방암 세포주 MCF-7 생장 억제 효과.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7;20(3):35-44.
  13. 조현정 등. 귤엽산변방이 유방암 세포주 MCF-7 생장 억제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7;20(1):50-60.
  14. 이진아, 박경미, 조성희. 익기양영탕의 항산화 및 유방암 세포주 생장 억제 효과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7;20(1):32-49.
  15. 정지예, 양승정. 활락효령단 추출물의 인간 유방암세포 MCF-7에 대한 성장억제 효과. 대한한방부인과학회. 2006;19(3):13-24.
  16. 정경아, 박경미, 조성희. 삼릉 추출물의 인간 유방암 세포 성장 억제 효과.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6;19(1):166-77.
  17. 반혜란, 조성희, 박경미. 귀출파징탕 추출물의 인간 유방암세포에 대한 성장억제 효과.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6;19(1):155-65.
  18. 김종섭, 이태균, 김동일. 귀전우 물추출물에 의한 유방암 세포주 증식 억제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4):1-9.
  19. 박영수 등. SKBR3 유방암세포주에 대한 귀전우 메탄올 추출물의 성장 억제 및 항산화효과.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1):46-54.
  20. 하정일, 정선형. 전이된 유방암 환자에 대한 미슬토(Mistletoe)를 사용한 면역료법의 임상례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1;14(3):209-17.
  21. 정선형 등. 림프마사지를 이용한 난소암, 유방암에서의 이차성 림프부종 치험 각1 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1;14(2):250-63.
  22. 최창민, 이종덕, 유성원. 비수유기 유선염 및 유방농양 환자에 대한 증례 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6;19(2): 295-304.
  23. Smallwood JA. A review of the natural history of fibroadenomas. Br J Cin Pract 1998;68:144-6.
  24. Pick PW, Iossifide IA. Occurrence of breast carcinoma within a fibroadenoma. A review. Arch Pathol Lab Med 1984; 108:590-4.
  25. Park HL et al. Excision of benign breast disease by ultrasound-guided vacuum assisted biopsy Device(Mammotome). J Korean Surg Soc 2005;68:96-101.
  26. 김유사. 유방암의 수술적 치료의 변천. 계명대학교 논문집. 1997;14(2): 274-83.
  27. 신세원. 조기유방암에서 유방 보존 술후 방사선 치료. 영남의대학술지. 1997; 14(2):274-83.
  28. Longman et al. Pattern of association over time of side-effects Burden, self -help and self-care in women with breast cancer. Oncology Nursing Forum. 1997;24(9):1555-60.
  29. Maunsell E, Brisson J, Deschenes L. Arm problem and psychological distress after surgery for breast cancer. Cancer journal surgical. 1993;36(4):315-20.
  30. Hladiuk M et al. Arm function after axillary diseection for breast cancer; Apilot study to provide parameter estimates. journal of Surgical Oncology. 1997;50:47-52.
  31. 엄애용. 유방암 수술 후 조기 환자를 위한 타이치운동 프로그램의 효과.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007;13(1);43-50.
  32. 申鉉大외. 東醫再活醫學科學. 서울: 書苑堂. 1995:95-108.
  33. 침구경혈학교실 편저 : 침구학 하. 서울:집문당. 1994:1294-5.
  34. 양진향. 발반사요법이 항암 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환자의 오심, 구토 및 피로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2005;35(1):177-85.
  35. Curt G, Breibart W, Cellar D F. Impact of cancer related fatigue on the lives of patients. Proceedings of the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1999; 18:573.
  36. Kin GM. Effects of foot reflexology of fatigue in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hy. Unpublished master's dissertion. Younsei University. Seoul. 2003.
  37. 전국한의과대학심계내과학교실. 심계내과학. 서울:군자출판사. 2006:317-24.
  38. 황제. 황제내경 소문. 서울:의성당. 2001: 900.
  39. 황제. 황제내경 영추. 서울:의성당. 2002: 684.
  40. 장개빈. 景岳全書. 북경:인민위생출판사. 1991:391-6.
  41. 서춘보. 古今醫統大全下冊. 북경:인민위생출판사. 1991:52-5.
  42. 우박. 醫學正傳. 서울:성보사. 1978: 171-3.
  43. 허준. 東醫寶鑑. 경남:동의보감 출판사. 2005:447-51.
  44. Platt et al. Perioperative antibiotic prophylaxis for herniorrhaphy and breast surgery.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1990;322:153. https://doi.org/10.1056/NEJM199001183220303
  45. 김준명. 항생제의 부작용. 대한의학협회지. 1994;37(10):1170-9.
  46. 전국한의과대학 비계내과학교수 공제. 비계내과학. 서울:한성기획. 2000: 208-9.
  47. 김영훈. 청강의감. 서울:성보사. 2001: 256, 3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