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 and Reading for the Analects of Confucius

한자(漢字)의 언어적 특성과 『논어(論語)』 읽기

  • Received : 2010.08.10
  • Accepted : 2010.09.11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This paper is the outcome of attempting to approach for reading the Analects of Confucius through the polysemy of Chinese character and indecidability of articles. For this purpose at first, I explained which this Chinese character can be applied for 'philosophy language'. In the 16th century Matteo Ricci had tried to find out the possibility of ideographic script as standing for a universal language. On the other hand, Hegel and Heidegger strictly insisted on the Chinese character is inappropriate for expressing the logic thought of the human being. The reason was as next; firstly, this character had not the preposition and articles, and secondly the only one word could not indicates the bisemy including the meaning of opposition, lastly this language system expresses and communicates only with the change of word order without inflection. But With some scholar like Cassirer, Saussure and Derrida we can confirm the possibility which will discover the Chinese character for using the logic and reasoning language of from different view. Because in the language system of this Chinese character the connection of words in contexts is more important other than meaning as the individual word, in comparison to the language of the West. The Chinese character hides the original meaning until being what kind of event and thing relationship watch inside with different letters. So to speak, the Chinese character is called as 'language of indecidability'. For these points, even though The Chinese character lacks of preposition, articles, and inflection speech etc. the letter systematic, this language system can play a role for expressing as the philosophic language which manages with the complicated problems of the human being.

이 논문은 한자(漢字)의 다의성(多義性)과 품사(品詞)의 비결정성(非決定性)에 초점을 맞추어 "논어(論語)" 해독을 시도하였다. 먼저, 이 글은 한자가 인간과 세계에 대한 문제를 표현하는 사유의 언어(다른 말로 철학언어)로서 제 기능을 할 수 있는가? 는 물음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를 전개하였다. 16세기 마테오 리치는 보편적인 '표의문자체(ideographic script)'의 가능성을 한자에서 발견하려고 노력함으로써 이 물음에 긍정적인 답변을 제시하였다. 반면, 헤겔과 하이데거 등은 한자는 첫째, 전치사와 관사가 없는 언어체계이며, 둘째, 이중의미, 반대의미를 표시하는 단어가 없으며, 셋째, 어형변화 없이 어순에 의해서만 의미를 표현, 전달하기 때문에 복잡한 인간의 사유와 엄밀한 논리를 표현하는 철학 언어로서 부적합하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카시러와 울만, 소쉬르, 그리고 데리다 등의 언어관을 경유하면서, 우리는 헤겔과는 다른 입장에서 한자의 사유언어로서의 기능을 발견할 가능성을 확인한다. 서양의 언어체계와 달리 한자는 언제나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단어들의 의미 보다 문맥에서의 언어 기능이 보다 중요하다. 한자는 고유의 품사를 감추고, 다른 문자들과의 관계망 속에서 어떤 사건과 사물의 의미를 표현하면서 자신의 본색을 드러낸다. 한자는 이른바 '불가결정성(indecidability)'의 언어인 것이다. 이러한 한자의 다의성과 품사의 부재는 바로 '불가결정성'에 기인한다. 이렇게 본다면, 비록 전치사, 관사, 어형변화, 품사 등을 결여하는 있는 문자체계일지라도 '다의(多義)'의 특성을 지닌 한자는 인간의 복잡한 사유를 나름의 방식으로 표현하는 철학언어로서 충분한 기능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토대로 "논어(論語)"읽기의 다양성을 담보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