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 of School Sports Club Participation on Boys'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학교 스포츠클럽 참여가 남자 중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0.10.10
  • Accepted : 2010.11.19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school soccer league influenced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 in an attempt to help improve their school life and facilitate the universalization of school soccer league. The subjects were 103 students participating in school soccer league at a boy's middle school in Busan and 148 non-participants at the same school as a comparison group.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chool soccer league program expressed better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than the other who didn't, and the gap between the two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2.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chool soccer league program, the students who showed higher participation frequency expressed better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than the other who didn't, and the gap between the two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3. The student who participated in the school soccer league program, the higher level students of soccer ability expressed better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than the lower level student of that, and the gap between the two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Keywords

References

  1. 고종욱(2006). 청소년기의 스포츠 동아리 활동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교육인적자원부(2007).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의 방향, 서울: 도서출판 레인보우북스.
  3. 김성국(2005). 스포츠클럽 활성화를 위한 생활체육 행정조직의 역할 및 발전 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정훈(2006). 고교생의 댄스스포츠 참여가 학교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미발행 석사학위논문.
  5. 김진환(2003). 생활체육 육성을 위한 스포츠클럽 활성화 방안, 교원대학교 대학원, 미발행 박사학위논문.
  6. 김춘식(2005). 남자 중학생의 동아리활동이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박찬흥.여경환(2005). 중학생의 과외자율체육 참여가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스포츠과학연구소논문집, 17.
  8. 설승원(2007). 동아리활동이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전주시 지역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송정용(2004). 여중생의 넷볼 운동이 학교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유정애.이충원.신기철.김선희.최희진.김윤희.김원정.조남용.김종환.문도순(2007). 체육수업모형, 서울: 대한미디어.
  11. 유정애.임현주 공역(2007). 스포츠교육개론, 서울: 대한미디어.
  12. 이삼출 역(2003).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몰입의 기술, 서울: 도서출판 더불어책.
  13. 이용순(2002). 청소년의 스포츠 참여와 학교생활 만족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정학(2006). 스포츠와 사회복지, 서울: 대한미디어.
  15. 이제헌(2006). 남자중학생의 방과후 스포츠활동 참여가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정명섭(2006). 중학생의 스포츠동아리 활동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최종학(2001). 중학교 학생의 sports 활동 참여 형태와 학교생활 만족도와의 관계, 충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한경옥(2004).中學生의 동아리 體育活動 參加가 自己效能感에 미치는 影響,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허계운(2005). 축구 특기적성 교육이 학교 부적응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정서에 미치는 영향.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황용준(2003). 청소년기의 스포츠동아리 활동 참여와 사회성 발달의 관계 : 광주지역 중학생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Daryl Siedentop, Peter A. Hastie, Hans van der Mars(2004). Complete guide to sport education. Champaign, IL: Human Kinetecs.
  22. Mihaly Csikszentmihalyi(1997). Finding flow. NY: Basic 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