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nds in Child Sexual Abuse Literature -Articles Published from 2000 to 2008-

아동성학대 연구 경향 -2000~2008에 발표된 국내외 주요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Yoon, Hye-Mee (Dept. of Child Welfar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윤혜미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Received : 2010.03.22
  • Accepted : 2010.06.22
  • Published : 2010.07.30

Abstract

This paper provides a review of research in the area of child(hood) sexual abuse. Particularly, the paper focuses on understanding the direction of research trends in Korea on this topic by evaluating the methodological changes, diversity of topics, and factors associated with research participants. The systemic, comprehensive review includes 28 articles in 14 primary Korean Journals and 261 articles in "Child Abuse and Neglect" and "Child Maltreatment" published from 2000 to 2008. Foci of the reviewing process were; (1) Do the transition of research methods follow scientific saturation? (2) What are the main subject areas of the field? (3)Who are 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from where were they recruited? The review finds that overall, the number of CSA studies fluctuated in early 2000, but remained stable which means that academic interests have remained along with the social concern. The Korean CSA studies are imbalanced in terms of scientific saturation. Studies with theoretical methods are short in numbers, but there is a rapidly growing number of research using qualitative approaches. The review also highlights that most quantitative research utilized cross-sectional survey methodology. The major research themes that were most frequently found were studies on factors associated with CSA and evaluation of treatment modalities. However, research on perpetrators and measurement scale development were rather rare. In the CA&N and CM articles, study participants are frequently recruited from mental health clinics or related social agencies. Korean samples usually come from schools than communities and young children and their mothers seem to be excessively represented. Balanced research efforts are strongly suggested.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출판된 주요 학술지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아동(기)성학대 연구의 경향을 방법론적 변화, 주제별 다양성, 그리고 연구참여자 관련 요인이라는 세 가지에 초점을 두고 분석함으로써 한국 아동성학대 연구의 방향성을 가늠하는 데 목적을 둔다. 2000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한국연구재단 등재지와 SSCI 수록 국외학술지에 게재된 학술논문 가운데 제목과 주제어 목록에 '아동(기)성학대(child(hood) sexual abuse)'가 포함된 국내연구 28편, 국외연구 261편 총 289편의 연구논문이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한국의 아동성학대 연구는 이론적 연구-양적 연구-질적 연구로 진행되는 일반적인 과학적 포화성의 순서와 일치하지 않으면서 질적 연구의 때 이른 등장을 보여주었다. 또한 양적 연구는 서베이 방식을 사용한 횡단적 연구에 치우친 양상을 보여주었다. 이는 아동성학대에 대한 짧은 개입역사와, 현장과 연구자 간의 연계 부족 등으로 실험연구나 종단연구와 같이 인과관계를 추정할 수 있는 연구방법의 실현에 한계가 있음을 보여준 것이다. 주제별로는 관련변인, 실태, 개입효과분석의 순으로 연구물의 빈도가 나타났으나 외국 연구에 비해 가해자 연구나 척도연구 등이 부재하여 연구자의 관심의 편향성을 보여주었고, 연구참여자는 피해아동과 일반성인의 빈도가 가장 높아, 피해아동과 아동기성학대피해성인의 빈도가 높은 국외연구와 차이가 있었다. 연구참여자 모집도 주로 학교 등을 통한 일반인구에 대한 접근이 임상적 대상보다 압도적으로 많아 연구 편이성이 중요한 조건이었음을 짐작하게 하였다. 아동성학대 연구의 발전을 위해 주제와 연구참여자 및 연구방법에 대한 균형적인 관심이 반영된 연구물의 누적과 다양한 관련 학문영역을 아우르는 전문학술지 출간 등의 과제가 제안되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학술진흥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