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onship between Global Imbalance and Exchange Rates: Effectiveness of the Bretton Woods II Hypothesis

글로벌 불균형과 환율의 관계 : '제2차 브레튼 우즈(Bretton Woods II)' 가설의 유효성

  • Jo, Gab-Je (Dept. of Economics & Finance, Keimyung University)
  • 조갑제 (계명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제금융학과)
  • Received : 2010.02.01
  • Accepted : 2010.03.05
  • Published : 2010.03.30

Abstrac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iveness of the Bretton Woods II hypothesis, by analy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change rates and the U.S. current account against 9 Asian countries for the period of 1999-2008. According to the estimation results, It is found that the Asian currencies' real depreciation significantly have worsened the U.S. current account against the Asian countries. Also, the U.S. current account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GDP and investment of the U.S. and the Asian countries. Thus, It is hard to say that the main driver of the global imbalance is the exchange rates devaluation policies of Asian countries as the Bretton Woods II hypothesis argues. The global imbalance is more likely to be complementally affected by savings glut in the Asian region and the deficiency of net saving in the U.S. Therefore, the global imbalance is expected to adjust when economic conditions besides exchange rates change.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규모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는 반면, 동아시아국가들은 꾸준히 높은 수준의 경상수지 흑자를 나타내는 이른 바 '글로벌 불균형(global imbalance)'현상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은 1999년-2008년간 자료를 이용하여 미국과 아시아 10개 국가간 경상수지와 환율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중국과 아시아 국가들의 수출증대를 위한 환율 저평가 정책이 글로벌 불균형의 핵심 원인이라고 주장하는 '제2차 브레튼 우즈(Bretton Woods II)' 가설의 유효성을 검정하였다. 실증 분석결과, 아시아 국가들의 실질환율 절하가 글로벌 불균형의 부분적인 원인으로 작용하였으나 아시아 지역의 투자위축에 따른 잉여저축과 미국의 순저축 부족 문제 등이 환율보다 더 큰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제2차 브레튼 우즈(Bretton Woods II)' 가설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며, 환율 이외에 국민소득 변화와 (저축 대비)투자의 변화와 같은 경제여건의 조정에 의해서도 글로벌 불균형은 완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