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nd Density Control by Selection System in Pyungchang Area, Gangwon Province

강원도 평창지역 택벌림화 작업지의 임분밀도 조절에 관한 연구

  • Baek, Ju-Hyoun (Dept. of Forest, Environment, and System, Kookmin Univ.) ;
  • Yim, Jong-Su (Dept. of Forest, Environment, and System, Kookmin Univ.) ;
  • Shin, Man-Yong (Dept. of Forest, Environment, and System, Kookmin Univ.)
  • 백주현 (국민대학교 산림환경시스템학과) ;
  • 임종수 (국민대학교 산림환경시스템학과) ;
  • 신만용 (국민대학교 산림환경시스템학과)
  • Received : 2010.02.08
  • Accepted : 2010.03.23
  • Published : 2010.03.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the management of natural deciduous forests by presenting suitable stand density over time for natural deciduous forests in Pyungchang Area. The stand density index(SDI) for the sampling point was also computed. The cutting scenarios were adopted by considering the SDI estimated in the sampling point. And then, simulation cutting was enforced to the stand. Cutting scenarios consisted of three cutting levels, with the period of 5 years where each suitable cutting level of selection system will not have the SDI over the maximum SDI throughout 30 years and consider harvest after 30 years. As a result of the simulation cutting, it was found that removing 12% and 14% of basal area per each time kept proper stand density while removing 10% exceed to the adequate basis. From an economic point of view, it was concluded that removal 12% of basal area would be the most suit cutting level in selection system.

본 연구는 강원도 평창지역의 천연 활엽수림을 대상으로 시간 경과에 따른 택벌림화 작업지의 임분밀도와 임목본수의 변화를 파악하고, 택벌림화 작업지에 적합한 무육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천연 활엽수림의 경영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임분밀도의 조절을 위해 임분밀도지수를 사용하여 매 5년 마다 ha당 흉고단면적의 10%, 12%, 그리고 14%를 제거하는 모의시업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택벌림화 작업지를 목표로 하는 임분으로 유도하기 위해서는 30년 정도의 정리기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최종적으로 30년이 경과하는 시점까지 각 시나리오에 따른 무육을 거치는 동안 적정 임분밀도를 유지하면서 많은 재적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을 택벌림화 작업지에 적합한 무육방법으로 판단하였다. 모의시업의 결과 매회 ha당 흉고단면적의 10%를 제거하였을 경우에는 정리기동안 임분밀도지수가 적정 수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매회 12%와 14%를 제거하였을 경우에는 적정 임분밀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최종 수확시의 경제성을 고려한 결과 흉고단면적의 12%씩을 제거하는 시업강도를 적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무육방법으로 평가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동부지방산림관리청. 2002. 환경친화적 조림기술과 지속 가능한 산림관리 기술 개발 연구(III). pp. 202.
  2. 동부지방산림관리청. 2003. 환경친화적 조림기술과 지속 가능한 산림관리 기술 개발 연구(IV). pp. 206.
  3. 산림청. 1992. 국유림 경영 현대화 산학 협동 실연 연구보고서(III). pp. 9-11.
  4. 산림청. 1997. 국유림 경영 현대화 산학 협동 실연 연구보고서(VIII). pp. 169-717.
  5. 신만용, 임주훈, 전영우, 고영주. 1992. 신갈나무-전나무 혼효임분의 경신 및 무육방법 I. 임분구조와 작업종. 한국임학회지 81(1): 21-29.
  6. 양희문, 강성기, 김지홍. 2001. 천연 활엽수림의 경영대상 수종 선정 및 구성 비율 추정. 한국임학회지 90(4): 465-475.
  7. 이우균, 서정호, 배상원. 2000. 강원도지방 소나무 동령 임분의 최대임목본수 및 고사모델. 한국임학회지 89(5): 634-644.
  8. 임업연구원. 1996. 활엽수 자원 조사 보고서(전국 총괄). 임업연구원. 연구자료 제122호. pp. 508.
  9. 임종수. 2001. 입지유형에 따른 강원도 평창 지역 천연 활엽수림의 친환경적 산림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66.
  10. Clutter, L., Fortson, J.C., Pienaar, L.V., Brister, G.H. and Bailey, R.L. 1983. Timber management: a quantitative approach. Krieger. pp. 72-75.
  11. Curtis, R.O. 1982. A simple index of stand density for Douglas-fir. Forest Science 18: 92-94.
  12. Pukkala, T., Miina, J., Kurttila, M. and Kolstrom, T. 1998. A spatial yield model for optimizing the thinning regime of mixed stands of Pinus sylvestris and Picea abies. Scandinav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13: 31-42. https://doi.org/10.1080/02827589809382959
  13. Rautianen, O. 1999. Spatial yield model for Shorea robusta in Nepal.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19: 151-162. https://doi.org/10.1016/S0378-1127(98)00519-2
  14. Reineke, L.H. 1933. Perfecting a stand-density index for even-aged forests. Journal of Agricultural Research 46: 627-638.
  15. Solomon, D.S. and Gove, J.H. 1999. Effects of unevenaged management intensity on structural diversity in two major forest in New England.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14: 265-274. https://doi.org/10.1016/S0378-1127(98)00358-2
  16. Suadicani, K. and Fjeld, D. 2001. Single-tree and group selection in Montane Norway Spruce stands : Factors influencing operational efficiency. Scandinav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16: 79-87.
  17. Woodall, C.W., Fiedler, C.E. and Milner, K.S. 2003. Stand density index in uneven-aged ponderosa pine stand.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33: 96-100. https://doi.org/10.1139/x02-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