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arine Tourism Co-Development of the South-North Korea and Policy Support Devices

남북한 공동 해양관광개발의 방향과 정책지원 방안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North Korea is hoping get more international aids and cooperations with facing serious difficulties in the domestic economies, but it is expected to be hard to induce foreign direct investments due to the lots of existing negative factors in the credibility, profitability, bad images, and so on. On the other hand, in South Korea, the demands of the places and facilities for the leisure & tourism have been skyrocketed with the fast economic growth during the last three decades, especially in marine tourism As the Korea peninsula is surrounded with sea in three sides, North and South Korea must utilize these area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for advance of entire cooperation. The cooperation through sea has some restraint factors. They may occur unexpected conflict and need enormous infrastructure investment for the further cooperation. In the other side, it has some advantages such as, it can avoid direct contact between both people for North government. Even though inter-Korean relationship is facing temporary cooling time recently, The marine tourism co-development of the South-North Korea is a potential and important factor for enhancement of the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Furthermore, it can achieve unification of two Koreas. This study reviews many factors and suggests marine policy Support devices for The marine tourism co-development between South-North Korea.

관광은 국가간에 무역마찰도 없으면서 국제친선교류 확대, 소득 및 고용증대, 높은 외화가득율을 가능하게 해주는 분야이다. 관광개발은 자원의 공유를 통하여 지역간 국가간 협력이 가장 용이한 부분으로 손꼽히고 있다. 그리고 관광산업은 세계 최대산업중의 하나로서 부가가치가 재화산업보다 높음이 증명되었다. 북한도 대규모의 투자 없이 현재의 관광자원을 기반으로 많은 외화를 획득할 수 있다는 인식하에 관광분야에 많은 관심을 표명하고 있다. 내륙관광과 달리 남북 주민간 접촉을 차단할 수 있고 내륙접근성이 절대 미비한 북한의 사정상의 해양관광개발에 대한 관심은 높을 수 밖에 없다. 그러나 해양관광개발은 대규모 투자, 전문기술 그리고 대량의 고급수요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북한 단독으로 추진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해양관광개발은 어떤 협력사업보다 남북한 공동 협력사업으로서 우선순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그동안 동 서해 접경해역에서의 군사적 충돌과 대립으로 인한 남북한 긴장관계를 평화적인 협력체제로 유도하여 궁극적으로 남북통일에 기여하기 위한 우선적으로 선택가능한 해양정책으로서 해양관광 공동개발의 제 사안을 살펴보고 그 정책적 지원장치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