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ere do Entrepreneurial Opportunities come from? Schumpeter's Idea and Stakeholder Theory Framework

창업 아이디어는 어디에서 오는가? 슘페터의 생각과 이해관계자 이론체계

  • 이주헌 (연세대학교 정경대학 경영학부)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Even though it is generally recognized that entrepreneurship is complex socio-economic phenomena and entrepreneurial opportunities can be created from economic, social, technological, political and legal forces, entrepreneurship has been discussed in very narrow economic terms and focusing on narrow economic relationships such as consumers, suppliers, owners and employee. However, recently, a lot of researchers talk about social entrepreneurship. How can we explain social entrepreneurs? In our paper, employing stakeholder theory, we try to offer more realistic model to understand entrepreneurial opportunities. We claim that entrepreneurial exploitations can be successful only when entrepreneurs can identify ex post stakeholder inefficiencies. Thus, our efforts focus on the question of where, when, and how stakeholder inefficiencies occur?

창업아이디어는 어디에서 오는가? 비록 창업은 복잡한 사회경제적 현상이고 일반적으로 창업아이디어가 경제적, 사회적, 정치와 법적, 기술적 변화에서 발생된다는 것이 학계에서도 인정되어지고 있지만 창업은 일반적으로 경제적 관점에서만 논의되고 있고 주주, 소비자 공급자, 그리고 종업원 등과 같은 경제적 관계에만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하지만, 최근 학계에서는 사회적 기업가에 대해 많이 논의가 되고 있다. 사회적 기업가를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본 논문에서는 이해관계자모형을 이용해서 창업기회를 이해할 수 있는 이론적 체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창업기회를 개발하는 것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사후적으로 봤을때 이해관계자 관계의 비효율적인 부분을 식별해야 한다고 저자는 주장한다. 본 논문에서 저자는 이해관계자 비효율이 언제, 어디에서, 그리고 어떻게 발생되는가에 대해 점검, 논의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