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and Improvement of Interior Orientation Accuracy of KOMPSAT-2 PANchromatic Bands

KOMPSAT-2 영상 PAN밴드의 내부표정 정확도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 Kim, Tae-Jung (Image Engineering lab, Inha University) ;
  • Jeong, Jae-Hoon (Image Engineering lab, Inha University) ;
  • Kim, Deok-In (Spatial Imagery Development Team, Hanjin Information Systems & Telecommunication Co., Ltd.)
  • 김태정 (인하대학교 영상공학 연구실) ;
  • 정재훈 (인하대학교 영상공학 연구실) ;
  • 김덕인 (한진정보통신 공간영상개발팀)
  • Received : 2010.07.19
  • Accepted : 2010.08.28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This paper reports experiments and analysis work done to find out the cause of Y parallex for stereo pairs of KOMPSAT-2 images and means to improve the Y parallex problem. We could conclude that the Y parallex problem was caused by resampling errors of KOMPSAT-2 PANchromatic bands, induced by the process of warping PANchromatic band with reference to multispectral bands. We could also conclude that a rigorous warping process could improve resampling of KOMPSAT-2 PANchromatic band and remove the Y parallex problem significantly. We also confirmed that a rigorous warping process could also remove blocky brightness patterns present on KOMPSAT-2 PANchromatic band. Therefore, by implementing more rigorous warping process within KOMPSAT-2 scene generation procedures, KOMPSAT-2 geometric and radiometric quality will be improved.

이 논문에서는 KOMPSAT-2 스테레오 영상의 PAN밴드에 존재하는 미세한 크기의 Y시차가 발생하는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일련의 실험 및 분석과정을 보고한다. 분석결과, Y시차가 발생하는 원인이 KOMPSAT-2 영상을 생성할 때 PAN밴드를 MS밴드와 일치하도록 Warping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Resampling 오차 때문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또한 엄밀한 PAN밴드의 Warping 방식을 적용하여 Resampling 오차를 제거함으로써 Y 시차문제가 상당부분 개선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KOMPSAT-2 영상 PAN밴드에서 관측된 밝기값 밀림현상도 엄밀한 Warping처리를 통해서 개선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보다 엄밀한 Warping기법이 KOMPSAT-2 영상처리과정에 적용될 수 있다면 KOMPSAT-2 영상의 기하정확도 및 복사정확도가 많이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서두천, 양지연, 2009. 센서모델링 특성에 따른 KOMPSAT-2 PAN 영상의 정확도. 항공우주기술, 8(2): 75-82.
  2. 양지연, 서두천, 최혜선, 임효숙, 2009. DEM 및 GCP 특성에 따른 KOMPSAT-2 영상의 정사보정 정확도 비교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424-430.
  3. 이수암, 정재훈, 김태정, 2009. KOMPSAT-2 영상의 DEM 생성 및 상용 소프트웨어와의 성능평가.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5(4): 359-366. https://doi.org/10.7780/kjrs.2009.25.4.359
  4. 이태윤, 정재훈, 김태정, 2008. 고해상도 위성영상과 기존 수치표고모델을 이용하여 신뢰성이 향상된 수치표고모델의 자동생성. 한국 GIS 학회지, 16(2): 193-206.
  5. 이현직, 유지호, 고영창, 2009. 지형공간정보 생성을 위한 KOMPSAT-2 영상의 활용성 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7(1): 21-35.
  6. 정재훈, 김태정, 2009. Spot 영상과 KOMPSAT-2 영상에서의 궤도 자세각 모델의 성능비교.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5(2): 133-143. https://doi.org/10.7780/kjrs.2009.25.2.133
  7. SPOT Image, 2002. SPOT satellite geometry handbook. S-NT-73-12-SI. 76 pages.
  8. T.Tserennadmid and Taejung Kim, 2009. Stereoscopic 3D modelling approach with KOMPSAT-2 satellite dat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5(3): 205-214. https://doi.org/10.7780/kjrs.2009.25.3.205
  9. Taejung Kim and Ian Dowman, 2006. Comparison of two physical sensor models for satellite images: position-rotation model and orbitattitude model, The Photogrammetric Record, 21(114): 110-123. https://doi.org/10.1111/j.1477-9730.2006.00363.x
  10. Taejung Kim, Hyunsuk Kim, and Sooahm Rhee, 2007. Investigation of Physical Sensor Models for Modelling SPOT 3 Orbits, The Photogrammetric Record, 22(119): 257-273. https://doi.org/10.1111/j.1477-9730.2007.00441.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