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 GIS-Based Real-Time Water Monitoring Technique

GIS기반 실시간 용수 모니터링 기법 연구

  • 김성훈 (남서울대학교 지리정보학과) ;
  • 이시형 (남서울대학교 지리정보공학) ;
  • 김동문 (남서울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
  • 김의명 (남서울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
  • 박재국 (남서울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 Received : 2010.02.17
  • Accepted : 2010.03.13
  • Published : 2010.03.30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raise the awareness of urban water not being efficiently managed and to propose a method for resolving this issue. To serve these purposes, a methodology was proposed to obtain sensing data in a real-time monitoring method and to build them into a GIS. Some sample data among sensing data was used to perform a series of trend analyses using several polynomial models. As a result of the aforementioned research, the proposed monitoring technique is expected to offer some important inform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urban water.

본 논문에서는 도시용수의 효율적인 관리 상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데이터 모니터링부터 정보화과정 까지를 포함하는 실시간 모니터링 기법을 통해 센싱 데이터를 취득하고 데이터 분석을 통해 용수사용 예측행정에 도움이 되는 일련의 방법론을 제시했다. 또한 센싱 데이터 중 일부 샘플자료를 사용하여 다항식모형을 이용한 추세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제시된 실시간 모니터링 기법 및 분석결과는 도시용수 건전성 향상을 위해 중요한 정보제공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진혁, 2008, 우리나라의 최신 수자원현황 및 특성, 한국수자원공사, http://www.kwater.or.kr.
  2. 김진택, 박기욱, 주욱종, 2005, "자동수위관측기를 이용한 농업용 저수지 모니터링 시스템", 한국관개배수학회지, 한국관개배수학회, 12권 1호, pp.60-68.
  3. 김정훈, 이미숙, 한재일, 2008, "지능형 지하시설물관리를 위한 상수도 모니터링 기술개발의 우선순위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GIS학회지, 한국GIS학회, 16권, 2호, pp.263-278.
  4. 정진석, 이용주, 변인선, 김태훈, 송용학, 2009, "유비쿼터스 환경기반의 상황인식 시나리오 연구-상수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17권 2호, pp.47-53.
  5. (주)그린텍아이엔씨, 2010, "상수관망 최적 유지관리시스템 구축 전략", 상수도관망 최적관리 시스템 구축 추진방향(개정된 지침과 정책설명 및 신기술발표회), 환경포커스, 상수도관로연구회, pp.141-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