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특성을 고려한 농촌마을계획에 관한 연구 -양양군 서면 서림리 해담마을을 사례로-

Study on the Rural Village Planning and Design by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Case Study on Haedam maul, Seorim-ri, Seo-myeon, Yangyang-gun-

  • 김상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이승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김은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이승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임창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이상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투고 : 2009.12.04
  • 심사 : 2010.03.13
  • 발행 : 2010.03.30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and carry out action plan and issues on how local amenity can be revealed through rural village planning and design especially in the local resources such as nature, history, culture. Especially, this lead to macro view of the rural village plan i.e. related to rural identity and space planning via estimating the local resources. According to this study will plan of 4 phrase steps 1. Analyse nature, environment, human sociology environment, space etc., and comprehensive analysis 2. compare the results of estimation and find the planing factors after that set the planning process 3. plan and create to rural community i.e. considering harmony with space function, environmental circumstance, landscape etc, 4. suggest the rural community action plan by considering amenity attribute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대식, 권용대, 최수명, & 임창수. (2005). 농촌관광기반의 지속가능한 마을정비유형의 설정. 농촌계획, 11(1), 45-53.
  2. 김정식. (2008). 농촌마을정체성 확립을 위한 어메니티 평가목표체계 구축. 한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5.
  3. 농촌자원개발연구소. (2004). 주민참여계획모델에 의한 농촌어메니티 자원발굴 및 설계기술 현장적용연구. 농림부, 586.
  4. 박시현, & 박주영. (2004).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모니터링 추진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7쪽.
  5. 양승정, 김용승, & 박용환. (2005). 전통취락 공간구성의 공간통사론적 해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21(10), 41-49.
  6. 윤원근. (2004). 한국 농촌계획의 방향정립과 과제. 한국농촌지도학회지, 11(1), 111-129.
  7. 이행욱. (2005).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농촌마을 종합개발권역의 공간구조분석.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8. 임경빈. (1985). 조림학원론. 향문사, 491.
  9. 임창수 등. (2009). Space Syntax를 이용한 농촌어메니티 강화 및 저해요소의 입지특성 분석. 농촌계획, 15(1), 1-13.
  10. 정 휘, & 김혜민. (2007). 농촌마을계획과 실행의 차이 분석-충남 서천군 이색체험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농촌계획, 13(3), 91-101.
  11. 정영진, & 정욱주. (2009). 지역정체성을 구현을 위한 순천 교육문화 공간 조경계획. 농촌계획, 15(2), 9-17.
  12. 황한철, 강구, & 최수명. (2007). 농촌마을 빈집.빈터의 입지특성 분석 및 활용방안. 농촌계획, 13(1), 19-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