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P를 활용한 삼각함수에서 학습부진아의 수학화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Slow Learners' Mathematization of Trigonometric Functions, Using GSP

  • 투고 : 2010.07.27
  • 심사 : 2010.08.18
  • 발행 : 2010.08.31

초록

This research was to help slow learners to be motivated and to make their outcome productive, using GSP based on the mathematization theory for learning mathematics, as a way of encouraging the learner-centered approach. With 2 of the second graders in a high school, who had not yet understood trigonometric functions in their first grade period, 7 units of lesson plans were designed for the research.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understanding real life contexts and analyzing properties by observation, and experiment using GSP, to build the concept of trigonometric functions could be a foothold on which learner's organization and outcome from a horizontal mathematization led to vertical mathematization. Despite the delay during the level-up-stage for a while, the learners could attain the vertical mathematization stage and moreover the applicative mathematization through effective use of GSP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learners or a teacher and the learners. Second, using GSP was a vertical tool of connecting horizontal mathematization with vertical mathematization in forming the concept of trigonometric functions and its meaning could be understood by their verbalizing and presenting the outcomes through their active performance. Using GSP is helpful for slow learners to overcome learning difficulties, based on the instructional materials designed by Realistic Mathematics Educ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현수 (2003). Van Hiele 이론을 바탕으로 GSP를 활용한 학습자료 개발 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 사학위 논문.
  2. 고상숙.고호경 (2008). 중학교 함수의 수학화 과정에서 의 성차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 교육>, 47(3), 273-290.
  3. 고상숙.장덕임 (2005). 수학화에 의한 도형지도에서 학생의 학습과정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4(2), 159-167.
  4. 고상숙.최경화 (2006). 수학사를 활용한 중학교 방정식에서 학생의 수학화, 한국수학교육학회,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45(4), 439-457.
  5. 교육과학기술부 (2008), 고등학교교육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6. 권성룡 (2001). 타구형 기하 소프트웨어 학습환경에서의 지식의 내면화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7. 김연식.정영옥 (1997). Freudenthal의 수학화 학습-지도 론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 논문집, 7(2), 1-23.
  8. 신유경.강윤수.정인철 (2008). GSP가 중학생들의 증명학습에 미치는 영향: 사례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1(1), 55-68.
  9. 우정호 (2000). 수학 학습-지도 원리와 방법. 서울대학교 출반부.
  10. 이희숙 (2009). 과학탐구활동을 통합한 삼각함수단원의 수업자료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사례연구, 이화여자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11. 장영수 (2006). 삼각함수 개념의 이해 실태 분석 및 지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2. 장진희 (2008), GSP가 학습부진아들의 수학적 성향에 대한 사례연구 - 중학교 2학년 일차 함수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정영옥 (1999). 현실적 수학교육에 대한 고찰-초등학교 의 알고리즘 학습을 중심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 연구, 9(1), 111-119.
  14. 정인철 (2005). 테크놀로지 환경에서의 수학적 발견 탐구 학습: Joy의 닮은 사각형.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8(3), 411-422.
  15. 조완영 (2000). 탐구형 기하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중학교2학년 학생의 증명활동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16. 천규섭 (2006). GSP활용을 통한 학생의 기하사고 수준발달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7. Brousseau, G. (1984). THe Crucial role of didactical contract in the analysis and construction of situations in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In Steiner, H. G., Theory of Mathematics Education(TME) (ICME 5-Topic Area and Mini-conference: Adelaide, Australia, 110-119), Bielifeld, F. R. Germany.
  18. Freudenthal, H. (1991). Revisiting mathematics education : China lectures. Cordrecht, The Netherlands : Kluwer Academic Publishers.
  19.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2000). Principles and Standard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20. Treffers, A. (1987). Three dimensions : A model of goal and theory description in mathematics instruction: The Wiskobas project. Dordrecht, The Netherlands: D. Reidel Publishing Company.
  21. Macmillan, J. H., & Schumacher, S. (1993). Research in Education: Conceptual Introduction(3rd ed). Harper Collins College.
  22. Marrades, R. & Gutie'mez, A. (2000). Proofs produced by secondary school students learning geometry in a dynamic computer environment.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44, 87-125. https://doi.org/10.1023/A:1012785106627
  23. Zheng, T. (1998). Impacts of using calculator in learning mathematics. The 3rd Asian Technology Conference on Mathematics (ATCM'98).Accessed at http://www.atcminc.com/mPublications/EP/EPATCM'98/index.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