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Coreoleuciscus splendidus is a teleost belonging to Gobioninae, Cyprinidae. The oogenesis was investigated by light microscope. The ovary was located between intestine and air bladder, a grayish and ellipsoidal shape with the major axis 20 mm and the minor axis 5 mm. Cytoplasm of oogonia was basophilic and many nucleoli were located at inside of nuclear membrane. In primary oocytes, yolk vesicles were distributed only in the marginal area and egg envelope was not formed on the outside of an egg. In secondary oocytes, the egg envelope was formed and yolk vesicles in the cytoplasm were increased than the earlier stage. The basophilic substance of cytoplasm was changed to acidic. In case of matured egg, thickness of egg envelope and size of egg were increased. The yolk vesicles were changed to yolk mass in accordance with development. In conclusion, the oogenesis of C. splendidus was characterized by the increase in cell size, the formation and accumulation of yolk, and the decrease of basophilic substance in the cytoplasm. The oogenesis of C. splendidus is similar with other Cyprinidae fishes. But further study on ultrastructural study of fertilized egg envelope will be necessary to get the species specificity.
경골어류, 잉어과, 모래무지아과에 속하는 쉬리(Coreoleuciscus splendidus)의 난자형성과정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쉬리의 난소는 한 쌍으로 부레와 창자사이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회색을 띠었다. 난소의 형태는 장타원형(장축 20 mm, 단축 5 mm)이었다. 난원세포는 다각형으로 세포질은 호염기성이었고 핵 안에 여러 개의 인들이 분포하고 있었다. 초기시기의 제1난모세포(primary oocyte)는 난원세포에 비하여 크기가 커졌으며 난황포(yolk vesicle)들은 핵 주변부에는 관찰되지 않았고 세포질의 가장자리에만 국한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제1난모세포가 발달함에 따라서 난황포는 바깥 가장자리에서 안쪽으로 증식되어 핵 쪽으로 이동되었으며 난막 바깥쪽은 짙은 푸른색의 여포상피(follicular epithelium)로 싸여 있었다. 그러나 핵의 주변부는 아직 푸른색을 띠고 있었다. 제2난모세포는 세포질이 전체적으로 호산성이었으며 난황포가 세포질 전체에 분포하였다. 성숙한 난자는 난자의 크기가 상당히 커졌으며 난막이 두꺼워졌다. 또한 난황포는 난황괴(yolk mass)로 전환되었다. 이상과 같이 쉬리의 난자형성과정은 난세포의 크기 증가, 난황낭의 축적, 세포질 내 염기성 물질이 산성으로 전환 및 난막의 발달로 요약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다른 과의 담수경골어류와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어종의 종특이성을 찾기 위해서 난막의 미세구조적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