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User Management for Decrease of Vandalism in Tourism Destinations

관광지의 훼손행위 감소를 위한 이용자 관리

  • Kang, Eun-Je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The University of Seoul) ;
  • Kim, Yong-Ge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 University of Seoul)
  • Received : 2010.03.30
  • Accepted : 2010.08.16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ise a user management plan for tourism destinations in parts of park and open green spaces to prevent resource damage through depreciative behavior by tourists. Also, the possibility of the introduction of user management has been considered in order to complement this in these kinds of park and open green spaces. As explained in prior results, tourists have had the opportunity of taking part in many experiences which furnish cultural and historical information, but have never had experiences which furnish information in utilization and management such as prohibited behavior at tourism destinations, responsibility for damage, etc. The furnishing of information on utilization and management plays an important role in understanding responsibility in resource damage. For example, groups who have been given information on utilization and management appear to be much more responsible toward resources and environmental damage. For this reason, this must be a very important element for preventing damaging behavior at tourism destinations. Tourists can be made to understand that tourism destinations can be very seriously damaged by users. In order to control these damaging behaviors which occur from other users and to meet the needs of the tourism destinations being visite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user management plan.

본 연구는 이용객의 올바르지 못한 행위로 일어나는 관광지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공원녹지 분야의 이용자 관리 중 커뮤니케이션 기법의 이용 관리에 관한 정보 제공을 제시하고 이를 도입하기 전 관광지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와 더불어 관광지 관리 및 훼손행위 규제, 훼손행위 감소를 위한 이용자관리 수용 여부 등 이용자관리에 관한 관광객의 인식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이용객들은 관광지 훼손의 심각성을 인지하며, 훼손행위가 관광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침에 따라 규제의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대답하였다. 특히, 이용 관리 정보와 관련하여 이용 관리 정보 제공 유무에 따라 자원훼손에 대한 책임인식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는데, 정보를 제공받은 집단이 제공받지 못한 집단에 비하여 환경 및 자원훼손에 대한 책임인식이 높게 나타나 앞으로 자원훼손 예방에 있어 이용 관리 정보가 중요한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그와 더불어 이용자 관리 중 법적 규제, 관리사무소의 계도 등도 적극적으로 수용할 것으로 나타나 앞으로 관광지 차원의 이용자 관리방안 정립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원개발연구원(1997) 여름철 해수욕장 및 비지정 관광지 운영의 효율화 방안. 강원: 강원비전포럼.
  2. 국립공원관리공단(2007) 2007 연차보고서.
  3. 김선희(2005) 관광지의 적정 수용력 산정과 관리방안연구. 대한지리학회지 40(3): 32-334.
  4. 김용근(1992) 도시공원에서의 이용자 훼손행위 관리방안: 사회심리학적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0(1): 101-105.
  5. 김용근, 장혜진, 유기준, 김상오, 나공주(2001) 효율적인 탐방객 분산을 위한 국립공원 광역정보 관리체계 구축. 한국공원휴양학회지 3(1): 10-17.
  6. 김용근, 최정식, 조중현(1996) 국립공원 이용행태 및 쓰레기 처리를 위한 Clean-up Time 운영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 내장산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환경생태학회지 10(1): 14-23.
  7. 문화관광연구원(2007) 문화유산 관광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문화재 활용정책 연구. 서울: 문화관광연구원.
  8. 박용재(1999) 기초자치단체의 관광지 관리가 방문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성수진, 김용근(2001) 생태공원에서 환경해설자의 교육적 효과: 길동자연생태공원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8(6): 52-61.
  10. 신우성(2004) 관광자원의 이해. 서울: 기문사.
  11. 신우성(2004) 관광자원의 이해. 서울: 기문사.
  12. 이대희(2002) 대성리 국민 관광지의 운영 실태와 관리방안.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2)4: 363-380.
  13. 이봉원, 이동근, 유선무 역(1976) 관광시설조경론: 관광 개발 계획의 수법. 日本觀光協會, 觀光施設造景論. 서울: 명보문화사.
  14. 인태정(2007) 관광의 사회학. 파주: 한울아카데미.
  15. 장병화(2001) 관광지 관리의 체계와 기법 연구. 한국관광정보학회지 9(2): 297-326.
  16. 최성식, 김용근(1998) 국립공원 방문자의 환경훼손행위 관리를 위한 방송프로그램의 효괴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5(4): 82-88.
  17. Gramann, J. H. and G. A. Vander Stope(1987) Prosocial behavior theory and natural resources protection: A conceptual synthesi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24: 247-257.
  18. Jubenville, A.(1978) Outdoor Recreation Management. Philadelphia: Saunders.
  19. Kim, Y. G.(1990) Depreciative behavior in outdoor recreation settings: An experimental application of prosocial behavior theory. Ph. D. Dissertation. Texas A&M University.
  20. Kraus, R. G. and J. E. Curtis(1982) Creative Management in Recreation and Park, C. V. Toronto: Mosby.
  21. Schwartz. S. H.(1977) Normative influences on altruism. In L. Berkowotz.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10: 221-279. https://doi.org/10.1016/S0065-2601(08)60358-5
  22. Van Liere, K. D. and R. Dunlap(1978) Moral norm and environmental behavior: Application of Schwartz's norm-activation Model to yard burning.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8(3): 137-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