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vergence of Knowledge and Border Thinking

지식의 융합과 경계적 사유

  • Received : 2010.10.04
  • Accepted : 2010.11.12
  • Published : 2010.12.30

Abstract

While this paper will be of interest to Convergence of Knowledge and Border Thinking, one of my main concerns has been to open the world of mind. Because the convergence of knowledge and border thinking are closely related to the problems of mind. It should be clear from this procedure that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It is not intended to be a definitive account of all problems of mind, bur rather a clear and thorough account of that segment of mind that pertains to an analysis of convergence of knowledge and border thinking. This claim, with their supporting arguments, will be discussed as follow; 1. What our knowledge has been for? 2. Knowledge and convergence of knowledge 3. How is the convergence of knowledge made up? 1) meeting at border 2) mind as a border 3) converging at mind.

최근 지식의 융합에 관한 논의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왜 지식의 융합인가 혹은 지식의 융합이 어떻게 가능한가에 대한 논의는 그리 많지 않다. 이 글은 이를 논의하기 위해 '우리의 지식은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가?'라는 물음에서 출발한다. 지식의 존재 근거가 우리의 생존에 있다는 사실을 전제하기 위해서였다. 지식의 융합을 논하는 이유도 같은 맥락이다. 지식의 융합은 지식의 증가이며, 생존에 관한 올바른 지식이 증가할수록 생존의 위기와 위험은 그만큼 줄어들 것이기 때문이다. 지식의 융합은 단순한 지식의 확장이 아니라 생존과 직결되어 있다. 문제는 방법이다. 어떻게 지식의 융합이 가능한가? 가장 쉽게 생각할 수 있는 것이 경계적 사유와 경계 넘기이다. 경계적 사유는 단순히 두 영역 '사이'나 '중간'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다. 두 영역을 함께 보는 것이 곧 경계적 사유이다. 그러므로 경계적 사유는 사유의 영역과 지식의 확장이다. 경계적 사유 자체가 사유의 새로운 영역이며 또 이를 통해 기존의 지식과는 다른 새로운 지식이 생산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과연 경계는 어디인가? 경계는 곧 마음이다. 그리고 지식의 생산과 융합은 마음의 프로그램이다. 결국 왜 융합인가에 대한 해답은 지식의 존재 근거와 동일하며, 둘 다 생존을 위한 우리 마음의 프로그램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