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usseauistic origin of Kant's theory of Freedom.

칸트 도덕철학의 자율적 자유 개념의 루소적 기원

  • Received : 2010.10.05
  • Accepted : 2010.11.12
  • Published : 2010.12.30

Abstract

In this paper I will consider the Rousseauistic origin of Knat's theory of Freedom. Kant's autonomous freedom which is the main theme of the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have three characteristic elements, namely spontaneity, self-lawmaking and universal validity. Rousseau mentions three kinds of freedom in his works. Natural freedom which is treated in Discourse on the origin of inequality is freedom which a man in natural state have. I proved that natural freedom is the origin of Kant's theory of spontaneity that is a essential part of autonomous freedom. Social freedom which is treated in Social contract is deeply connected with general will. General will is the power of self-lawmaking. We can easily conclude that Rousseau's social freedom is the origin of Kant's theory of self-legislation which is another essential part of autonomous freedom. The last essential part of Kant's autonomous freedom is universality that is inseparably connected with Rousseau's moral freedom which is largely mentioned in Emlie.

필자는 이 논문에서 칸트 도덕철학에서의 자율적 자유 개념의 루소적 기원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칸트가 자신의 자율적 자유 개념을 형성함에 있어서 그리고 자유를 자기 철학체계의 요석으로 간주함에 있어서 루소로부터 영향을 받았음이 사실이라 하더라도, 루소 자유론의 어떤 측면이 칸트 자유론의 어느 부분에 영향을 주었는가에 대해서는 아직 세부적인 연구가 이루어 지지 않았다. 필자가 주목하고자 하는 부분이 바로 이것이다. 필자는 먼저 루소가 인간의 본성을 자유로 보았음을 살펴볼 것이다. 둘째로 루소의 세 가지 자유 개념을 고찰할 것이다. 루소는 자연적 자유, 시민적 자유, 도덕적 자유에 대해 고찰한다. 셋째로 칸트가 언급하는 다양한 자유 개념들을, 즉 선험적 자유, 실천적 자유, 자율적 자유의 개념들을 간략히 살펴본 뒤, 이 세 가지 자유 개념의 공통적인 요소가 자발성, 자기입법성, 보편성임을 밝힐 것이다. 마지막으로 그 세 가지 요소의 루소적 기원을 살펴보는 방식으로, 루소의 자유 개념을 해명하고자 한다. 보다 세부적으로 말한다면, 칸트는 루소의 자연적 자유 개념으로부터 의지의 자발성의 요소를, 루소가 말하는 시민적 자유의 개념으로부터 자기입법성을, 루소가 말하는 도덕적 자유의 개념으로부터 보편성을 받아들였음을 밝히고자 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경북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