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ase Study of Change in Practical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cused on Science Class for the Gifted

초등교사의 실천적 지식 변화에 대한 사례 연구: 과학영재수업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0.03.22
  • Accepted : 2010.04.20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eachers' recognition of science class and children for the gifted, and the process of changes in their practical knowledge after the experience of science class and conversation with colleague teachers. Two elementary teachers, teacher A and B, were selected as subject of investigation, who wanted to improve their science class. They experienced the process of self-examination during their class and from class conversations. Teacher A has 10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She has been in contact with gifted children and observed them since undergraduate. She entered the graduate school since she came to be interested in science class and children for the gifted. While teacher B has only thre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nd had a first contact with the gifted after graduate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eacher A didn't change recognition of gifted children class by class conversation in short term because she had a firm faith in good class teaching and was rich in class teaching knowledge. And, her practical knowledge was applied to the next class by changing teaching method or by supplementing her class contents in concerned part through class observation and class conversation with her colleagues. Teacher B was characterized as being lack of class confidence and concerned more about subject knowledge. She was forming a new practical knowledge along with new class teaching knowledge. Teacher B was in trouble with applying new practical knowledge to next class. From such findings, it was concluded that the process of changing or forming of practical knowledge depends on the beliefs, values, experiences, or knowledges of each teacher. A reflection on one' own class teaching could be a good way to form a practical knowledge and improve teaching speciality, when it was concerned with self-reflection of their own class, class observation, and communication with colleagues. Thus, the reflection practice could be applied to the teaching program of teachers for the gifted to form practical knowledge through trial class, self-reflection of class, and conversation with colleagues.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영재수업을 담당하는 교사들의 과학 영재수업 및 영재아에 대한 인식 변화와 교사들의 실제 수업 및 동료교사 간의 대화를 통해 실천적 지식의 변화과정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대상으로 수업개선을 희망하는 초등교사 2명(A와 B교사)을 선정하였고, 그 교사들은 수업 및 수업대화를 통해 수업에 대한 자기성찰과정을 경험하였다. 교직경력 10년차인 A교사는 학부 때부터 영재아 관찰을 통해 영재를 접해왔고 평소에도 영재나 과학수업에 관심을 많이 갖고 있어 대학원에 진학하였다. 그에 비해 B교사는 교직경력이 3년차이며 대학원에 진학한 이후 영재아를 접해 본 교사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좋은 수업에 대한 확고한 신념과 영재에 관한 지식이 선행되어 있는 A교사는 자신의 실제 교실 수업 경험으로부터 반성적 성찰을 통해 영재수업에 대한 실천적 지식이 발달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업관찰과 동료교사와의 수업대화를 통해 고민한 부분에 대하여는 교수방법을 변경하거나 교과내용지식을 보강하는 등 실천적 지식이 다음 수업에 실제적으로 반영되어 나타났다. 그러나 영재에 관한 지식이 선행되지 않은 B교사는 자신의 수업성찰이나 수업 경험이라기보다는 동료교사와의 대화를 통해 실천적 지식의 발달이 이루어졌으며 형성된 실천적 지식을 다음 수업에 반영하는데 다소 어려움을 겪는 듯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교사가 가지고 있는 신념, 가치관, 경험, 지식 등에 따라 실천적 지식의 변화과정이나 형성과정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수업, 수업관찰, 동료교사와의 수업대화를 통한 자기 수업에 대한 성찰은 초등영재 담당교사가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여 수업전문성을 향상시키기에 좋은 방법이 되므로 영재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모의수업, 자기수업반성, 수업대화를 통해 수업에 대한 실천적 지식을 형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진, 권병두, 김찬종, 최승언 (2005). 과학영재학교 과학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신념과 교수활동 유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4), 514-525.
  2. 김자영 (2002). 초등 교사의 수업 속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에 대한 이해: 초등 수학 수업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박선자 (2009). 교육청 영재교육원 중등 과학 담당 교사들의 영재성에 대한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박영석 (2005). 중학교 사회과 교실 수업의 이해와 교과 수업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시민교육연구, 27(3), 25-49.
  5. 서혜애, 박경희, 박지은 (2007). 과학영재교육 교사 교수방법 전문지식의 수준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1(1), 1-14.
  6. 심규철, 김현섭 (2006). 지역 영재교육원 과학영재교육 담당 교사의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4), 479-484.
  7. 이봉우, 손정우, 최원호, 이인호, 전영석, 최정훈 (2008). 과학영재교육에서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 초등과학교육학회지, 27(3), 252-260.
  8. 임청환 (2003).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본질과 발달.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4(4), 235-249.
  9. 조순묵 (1998). 수업반성을 통한 초등교사의 체육교수활동 변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최선영 (2007). 초등과학 영재학급 담당 교사의 영재 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초등과학교육학회지, 26(3), 252-259.
  11. 한상훈, 박승렬, 이명자 (2008). 수업반성 연구 경향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8(2), 1-21.
  12. 홍미화 (2006). 교사의 실천적 지식으로 읽는 초등 사회과 수업.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Borland, J, H. (1997). The construct of giftedness. Peabody Journal of Education, 72(3&4), 6-20.
  14. Butt, R., Raymond, D., McCue, G., & Yamagishi, L. (1992). Collaborative autobiography and the teacher's voices. In: I. F. Goodson (Ed.), Studying teachers' lives (pp. 51-98).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15. Craig, C. (1995). Knowledge communities: A way of making sense of how beginning teachers come to know in their professional knowledge contexts. Curriculum Inquiry, 25(2), 151-175. https://doi.org/10.2307/1180185
  16. Elbaz, F. (1981). Th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Report of a case study. Curriculum Inquiry, 11(1). 43-71. https://doi.org/10.2307/1179510
  17. Schuman, D. (1982). Policy analysis, education, and everyday life: An empirical of higher education in America. David, D.C. Heath.
  18. Seidman, I. (1998). Interviewing as qualitative research.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19. Spodek, B., & Yinghui, H. (1995). Educational principles underlying the classroom decision-making of two kindergarten teachers.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83 6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