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s of Science Writing Tendencies according to the Level of Meta-cognition Between General and Gifted Students

영재 선발을 위한 초인지 사고 수준에 따른 학생들의 과학글쓰기 경향성 분석

  • Received : 2010.03.11
  • Accepted : 2010.04.17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This research was planned to analyze the students' science writing tendencies according to the level of meta-cognition for using as materials of selection of gifted students. To get results, meta-cognition writing tests which measured critical thinking abil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were developed, and the students' the level of meta-cognition was measured. Thereafter We analyzed the students' science writing tendencies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meta-cognition through the science writing with meta-cognition task(the main theme are expectation; explanation; claim; criticism; imagination), and found out the students' ability of science writing was different with the level of meta-cognition. Students with the low level meta-cognition did not represent their thinking well, but students with the high level meta-cognition were try to upgrade their writing through highly concentration and perceiving theirs writing mistakes. As this results, science writing is useful as materials of selection of gifted students.

본 연구는 영재 선발의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는 학생들의 글쓰기 능력을 파악하기 위해 초인지 사고 수준에 따른 과학글쓰기의 경향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비판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을 측정할 수 있는 서술형 초인지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초인지 사고 수준을 측정하였다. 이후 예상하는 글, 설명하는 글, 주장하는 글, 비판하는 글, 상상하는 글 등의 과학글쓰기 과제를 통해 초인지 사고 수준에 따른 과학글쓰기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초인지 사고수준에 따라 학생들의 글쓰기 능력에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초인지 사고 수준이 낮은 학생들은 생각한 것을 잘 표현하지 못하였으며, 초인지 사고 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집중도가 높아 자신의 표현상 약점을 깨닫고 글의 완성도를 높이려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로부터 영재 선발의 자료로써 과학글쓰기의 활용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2007).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서울: 교육부.
  2. 경인교육대학교 (2010). 관찰 . 추천 방식으로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을 위한 전문연수. 경기: 경인교육대학교 과학영재교육연구소.
  3. 김남순 (2002). 초인지 훈련이 초인지와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경상대학교 중등교육연구, 13, 45-72.
  4. 김혜림 (2006). 초인지 수준과 초인지 전략 유형에 따른 하이퍼미디어 학습 효과. 석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5. 노인석 (1997). 메타인지 작문수업이 아동의 작문능력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6. 박종원 (1992). 상대론 기초 개념 변화에 있어서 초인지의 역할.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7. 부산대학교 (2010). 영재교육 대상자 관찰 . 추천 도구 매뉴얼. 부산: 부산대학교.
  8. 윤초희, 김홍원 (2004). 지적으로 우수한 영재아의 형식적 사고, 초인지 및 창의력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심리학회, 18(1), 241-260.
  9. 서울신문 2010. 3. 3일자 14면(사회) 기사 : 과학고 전형 2011학년도부터 이원화.
  10. 손정우 (2006). 과학논술능력 향상을 위한 과학적 사고력에 근거한 과학글쓰기 교수법. 교육과정평가연구, 9(2), 333-355.
  11. 손정우, 이봉우, 이인호, 최원호, 신영준, 한재영, 최정훈 (2009). 중등과학영재 판별도구의 개발과 이해. 서울: 북스힐.
  12. 손정우 (2009). 과학글쓰기를 통한 과학영재학생들의 과학적 사고력과 창의적 문제 해결력 연구.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1(3), 21-32.
  13. 송진웅, 손정우, 이재연, 강태욱, 이은아, 정민경, 임진영 (2007). 고등학교 과학 독서 및 논술 지도자료. 서울: 서울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4. 신기술 (1995). 사고력 신장을 위한 초인지 전략의 활용. 청람어문학, 14(1), 197-220.
  15. 신형기, 정희모, 김성수, 이재성, 유현재, 김현주, 한경희, 박권수, 박진영 (2008). 모든 사람을 위한 과학글쓰기. 서울 : 사이언스북스.
  16. 심재학 (1994). 초인지 전략 수업 모형의 탐색 및 효과 분석.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17. 이재승 (1999). 상위인지적 쓰기 전략의 강조방안. 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 8(1), 295-317.
  18. 이재승 (2002). 글쓰기 교육의 원리와 방법. 서울: 교육과학사.
  19. 최현섭, 박태호 (1994). 과정 중심의 전략적인 글쓰기 지도 방안. 한국초등국어교육, 10(1), 199-244.
  20. 한국과학기술원 (2010). 과학고 과학창의성 캠프 전형 직무연수. 대전: 한국과학기술원 과학영재교육연구원.
  21. Davis, G. A., & Rimm, S. B. (1989).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4th ed.). Boston, MA: Allyn and Bacon.
  22. Fayol M. (1991). From sentence production to text production. European Journal of Psychology of Education, 6, 101-119. https://doi.org/10.1007/BF03191929
  23. Flavell, J. H. (1979). Metacognition and cognitive monitoring: A new area of cognitive developmental inquiry. American Psychologist, 34(10), 906-911.
  24. Pintrich, P. R., & De Groot, E. V. (1990). Motivated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1), 3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