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작업관리방식이 작업여건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주단위작업관리방식과 일단위작업관리방식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Work Management Type on Work Condition

  • 투고 : 2010.05.25
  • 심사 : 2010.08.30
  • 발행 : 2010.09.30

초록

건설산업은 노동집약적 산업으로 단위작업마다 작업자가 작업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수행했는가에 따라 노동생산성은 큰 영향을 받으며 노동생산성 향상을 위해 작업여건(work condition)이 관리되어야 한다. 작업여건은 자재, 장비, 타 작업간섭, 작업장 안전 등 작업자의 작업수행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로서, 작업의 특성에 따라 작업여건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종류는 다양하다. 또한 작업여건들은 현장관리조직의 작업관리 행위 즉 작업관리방식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하지만 작업관리방식이 작업여건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은 학계 및 산업차원에서 많은 사람들에게 인식되고 있지만 이를 정량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노력은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건설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작업관리방식이 작업여건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Construction industries is a labor intensive industries. According to Korea Productivity Center, most OECD members indicate high labor productivity more than Korea labor productivity in construction industries. First of all, for increasing labor productivity work efficiency and work condition should be managed by administrator in work site. Especially, work condition could be controlled by the management behaviors of administrator in work site such as work management type. This indicates that work management type could influence strongly work condition. But although that work management type could influence work condition is the characteristic of construction work is recongized to many people, the quantitative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condition and work management type is not enough.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Work Management Type on Work Condi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예상(1994) "건설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구조계), 제10권 제10호
  2. 안상현(2008) "건설현장 작업효율 및 작업여건 관리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학위논문
  3. 원종성(2008) "한국 건설 산업 생산성의 국제 경쟁력 분석", 한국건설관리학회, 제19권 제4호
  4. 유정호(2007) "민간건설기술 R&D 활성화 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 제8권 제6호
  5. 이상범(2007) "AHP 기법을 이용한 건설노동생산성 저하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연합회논문집, 제9권 제1호
  6. 지근창(2006) "건축공사의 투입요소에 의한 작업지연 원인 분류 체계", 대한건축학회(구조계), 제22권 제11호
  7. 한국생산성본부(2009) "2008년 생산성 국제비교 보고서"
  8. 이학식(2005) "SPSS 12.0 매뉴얼", 법문사
  9. H. Randolph Thomas, Labor Productivity and Work Sampling: The Bottom Line,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 117, No 3, pp.423-444, 1991 https://doi.org/10.1061/(ASCE)0733-9364(1991)117:3(423)
  10. Eric Allmon, Carl T. Haas, John D. Borcherding, and Paul M. Goodrum, U.S. Construction Labor Productivity Trends, 1970-1998,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 126, No.2, pp.97-104,2000 https://doi.org/10.1061/(ASCE)0733-9364(2000)126:2(97)
  11. Liberda, M., Ruwanpura, J., and Jergeas, G., Construction productivity improvement : A study of human, management and external issues. Construction Research Congress, ASCE,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