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City Service Space Realization Strategies in Digital Convergence Era

디지털융합시대의 U-City서비스 공간화 방안

  • Received : 2010.04.29
  • Accepted : 2010.06.16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It is possible to evaluate hi-tech spatial services such as U-City services as part of the visible results from more than 10 years of public efforts and budgets on Korea National Digitalization. The U-City services are mainly based on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but in the aspect of giving intelligence to the existing physical space, in principle, they are to be inter-connected with both spatial information and spatial plan. But, still there are few shared concepts for linking U-City services with spatial information and spatial plan. Therefore, under the proposition of the realization of Ubiquitous National Territory in the Digital Convergence Era,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facilitate the balanced development among U-City services, national spatial data and spatial plan by proposing a new concept of Digital Convergence Space. Then, for its realization, regarding laws and policy arrangements are suggested.

U-City 서비스로 대표되는 첨단 공간서비스는 그동안 10여년의 많은 노력과 예산투자의 결과로 가시화된 국토정보화(National Digitalization)의 결실로서 평가될 수 있다. U-City서비스는 정보통신기술을 근간으로 하고 있으나 현실공간의 지능화 측면에서 그 개념상 공간정보와 또 그것을 기반으로 국토공간을 분석하고 활용하기 위한 국토 공간계획과 긴밀한 연계관계를 갖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아직까지 U-City서비스는 기존의 공간정보 및 공간계획과 명확한 상호관계 설정 및 각 분야간 계획, 구축 및 관리간 연계가 미흡한 실정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디지털융합시대의 국토 유비쿼터스화라고 하는 큰 명제하에 U-City서비스가 국토 공간정보 및 공간계획과 상호 유기적 연계관계를 가지고 발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디지털융합공간(Digital Convergence Space)의 신개념을 제안하고 그 구현을 위한 제도적 정비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홍렬, 유비쿼터스 논의에서 읽는 IT의 기술혁신방향, KISDI이슈리포트, 2004
  2. 고일두, 새로운 건축 패러다임 Ubiquitous 공간기술, 건축, 제53권 제1호, 통권356호, pp. 14-16, 2009.
  3. 김성아, U-Space: 지능적 공간에서 경험의 공간으로, 건축, 제53권, 제1호, 통권356호, pp.22-26, 2009.
  4. 김영표, 국토종합정보체계 구축 및 추진전략수립 연구, 국토연구원, 2003
  5. 김영표, 시공자재의 세상을 향한 사이버국토 창조방안(I), 국토연구원, 2004.
  6. 김영표, 시공자재의 세상을 향한 사이버국토 창조방안(II), 국토연구원, 2005.
  7. 대한측량협회, 3차원 공간정보구축 기본계획: 사이버 국토관리 실현과 IT 융복합 신산업 창출, 2009.
  8. 디지털융합연구원, 디지털생태계 미래전략 연구, 2007.
  9. 류성상, 디지털 컨버전스로 나타나는 유비쿼터스사회, 한국전산원, 2005
  10. 문태훈, 정보통신부, 유비쿼터스 도시(U-도시)구축 실행 계획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2004.
  11. 이연님, 권오병, 특정 유비쿼터스 지능공간 구축을 위한 최적 선정 방법론, 지능정보연구, 제14권, 제3호, pp. 109-131, 2008.
  12. 정문섭, 김정훈, 한선희, 지식정보화시대의 디지털통합국토 구상연구: 국토연구원, 2005.
  13. 조위덕, 유비쿼터스 지능공간, UCN, 2006.
  14. 조춘만, GIS를 이용한 센서스기반 근린주구 및 주민인지 근린주구 간 영역계 비교연구,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제41권 3호, 2006
  15. 조춘만, 김정훈, u-City서비스.기술.기반시설의 연계성 확보방안, 한국GIS학회지, 제17권, 3호, pp. 287-299, 2009.
  16. 조춘만, 김정훈, u-City도시통합운영센터의 제도적 정착방안에 관한 연구: 정의 및 위상을 중심으로, 한국GIS학회지 제17권 1호, pp. 15-23, 2009.
  17. 조춘만, 김정훈, u-City도시통합운영센터의 제도적 정책방안에 관한 연구: 기능 및 입지를 중심으로, 한국GIS학회지 제17권 3호, pp. 269-276, 2009.
  18. 최남희,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공간적 특성과 U-도시의 구현, 도시문제, 6월호, 2004.
  19. 최병남, 국토통합정보시스템 기반연구, 국토연구원, 2007.
  20. 하원규, 유비쿼터스 IT혁명과 제3의 공간, 전자신문사, 2002.
  21. 한국정보사회진흥원, 디지털 컨버전스로 나타나는 유비쿼터스사회, 유비쿼터스사회 연구시리즈 제3호,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