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저신장이란 같은 연령 및 성별 소아들의 표준 신장 평균치에서 -2.0 SD 이하인 경우를 말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저신장 소아의 두개안면골격의 특성을 분석하고, 성장호르몬 치료가 신장을 성장시킴과 동시에 두개안면골격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함이다.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소아청소년과에서 저신장으로 진단받은 소아를 대상으로 성장 호르몬 치료 전 그리고 치료 후 1년, 2년 후 총 3회 측모 두부 방사선 규격 사진의 촬영을 시행하였다. 대조군은 경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교정과에 소장된 한국인 평균 신장의 2 표준오차 내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측모 두부 방사선 규격사진을 2년마다 10년간 촬영한 자료를 이용하여 저신장 소아의 연령과 성별을 기준으로 짝진 표집(paired sampling)을 하였다. 성장 호르몬 치료 전 저신장 소아는 작고 후퇴된 하악골과 편평한 두개저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장 호르몬 치료 후 anterior, posterior cranial base length, upper posterior facial height, lower anterior facial height, posterior total facial height, mandibular ramus length, mandibular corpus length와 overall mandibular length 성장량이 정상군에서의 2년 성장량과 비교했을 때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도 계측에서는 saddle angle, mandibular plane angle과 ANB변화량이 정상군에서의 2년 성장량과 비교했을 때 큰 변화를 보이며 정상군의 평균치를 따라잡는 경향을 보였다. 성장 호르몬 치료는 불균형적인 성장의 징후 없이 정상화를 향한 성장(따라잡기 성장)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특히 하악과두의 성장과 후안면고경의 성장을 촉진시켜 저신장 소아의 convex한 profile을 완화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growth hormone treatment (GHT) on craniofacial growth in children of short stature. Methods: Nineteen untreated children of short stature were referred from the Pediatric Department,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as a subject group. All subjects had lateral cephalograms taken before, after 1 year and after 2 years of growth hormone treatment. As a reference group, we selected 19 normal children with paired sampling who matched the subjects' age and sex, from the Department of Orthodontic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Results: Before GHT, anterior cranial base length and upper posterior facial height, posterior total facial height, mandibular ramus length, and mandibular corpus length were significantly smaller in the reference group. In angular craniofacial measurements, saddle angle and mandibular plane angle were larger. SNA and SNB were smaller in the reference group. After two years of GHT, growth hormone accelerated growth in several craniofacial components. The posterior total facial height, the anterior, posterior cranial base length, and the mandibular ramus length were increased. And the difference in mandibular plane angle and ANB value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group was decreased. Conclusions: GHT over 2 years leads to a craniofacial catch-up growth tendency, which is pronounced in interstitial cartilage and condylar cartilage.